제주특별자치도가 국토교통부의 ‘2025 드론 실증도시 구축사업’에 5일 최종 선정돼 부속섬을 대상으로 드론 운송사업 상용화를 확대한다.
제주도는 2019년부터 섬 지역 특성에 맞는 드론 활용 실증 사업을 제안해 국내 최초로 5회 드론실증도시에 선정됐으며, 그간 총 약 40억 원의 국비를 지원받게 된다.
이번 사업 선정은 서류평가(2.20.)와 발표평가(2.25.), 협상을 거쳐 5일 최종 확정됐다.
올해 선정으로 제주도는 가파도, 마라도, 비양도 등 부속섬을 대상으로 선박 운항이 없는 물류취약시간대에 생활필수품 등을 드론으로 배송하고, 지역 특산물을 역배송하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올해는 서비스가 대폭 확대된다. 운영 시간이 수요일부터 토요일까지, 오후 4~10시로 늘어난다. 비양도와 마라도의 경우 최대 배송 무게가 당초 3kg에서 10kg으로 증가되고 배송함도 대형화된다. 또한 공공배달앱 ‘먹깨비’와 연계해 가맹점과 배송물품도 확대할 예정이다. * (기존) 수~금요일, 16~20시, (변경) 수~토요일, 16~22시
제주도는 드론 실증도시 사업과 더불어 2021년 2월부터 2025년 6월까지 전국 최대 규모의 드론특별자유화 구역(1,283km2)을 운영하며 드론 실증과 상용화 서비스를 개발해왔다.
특히, 올해는 3차 드론특별자유화구역('25.6.~'27.6.)을 신청하고, 유선 드론과 인공지능(AI)을 활용한 대규모 행사 안전 모니터링과 비상상황 긴급 대응 시스템 구축 등 지역 특성에 맞는 다양한 사업을 추진할 예정이다.
양제윤 제주도 혁신산업국장은 “드론을 활용한 부속섬 물류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개선하고 확대해 주민들의 생활편의를 높이겠다”며 “앞으로도 지역 특성에 맞는 혁신적인 드론 서비스를 발굴하고 상용화하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시사TV코리아 (http://www.sisatvkorea.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