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 권한대행은 오늘(7일) 서울 중앙청년지원센터에서 대학생과 취업 준비생·직장인·기업가 등 청년 13명과 오찬 간담회를 열고 “모든 정책에서 청년을 포함한 미래세대의 목소리가 적극 반영되어야 한다”며 지속 가능한 정책을 만들겠다고 밝혔다.
이어 “청년 정책은 청년을 수혜자로 하는 정책이라고도 볼 수 있지만 더 크게 봤을 때는 미래에도 제대로 작동하는 정책”이라며 “정책을 수립하는 과정부터 집행, 평가 등 모든 과정에서 청년들의 이야기를 듣겠다”고 덧붙였다.
최 대행은 “최근 쉬고 있는 청년이 늘어나는 것은 국가적으로도 아주 큰 손실이라며, 청년 창업 펀드 조성, 창업 중심 대학 추가 지정 등 원활한 청년층의 노동시장 진입을 지원하겠다”고 설명했다.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참석자들은 실무경험과 역량 개발을 위한 기회, 청년창업 기업 성장 등을 위한 여건 개선이 필요하다고 답했다.
청년들은 △재학 중 일 경험 확대 △교외 근로장학생 활성화 △정부 일 경험 사업의 홍보 강화 △청년도전지원사업 확대 등이 필요하다고 요청했다.
이 밖에도 △지역 창업 청년 지원 △청년 창업기업의 연구·개발(R&D) △해외 진출 지원 등의 필요성도 강조했다.
간담회에 참석한 김문수 고용노동부 장관도 “일할 기회를 얻지 못하면 나라의 발전이 불가능한 만큼, 국가의 최우선 책무는 청년들에게 기회를 열어주는 것”이라며 관련 지원을 약속했다고 기재부는 전했다.
<저작권자 ⓒ 시사TV코리아 (http://www.sisatvkorea.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