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인공지능, AI에 내년도 예산 10조 1천억 원을 투입한다.
정부는 오늘(29일) 국무회의를 열고, AI 로봇, 자동차 등 '피지컬 AI' 중점 사업뿐 아니라 1~2년 안에 성과를 낼 수 있는 생활밀접형 AI 제품 지원하는 2026년 예산안을 확정했다고 밝혔다.
내년 신규로 들어간 지원 사업은 크게 두 가지로 제조업을 기반으로 한 '피지컬 AI'와 생활밀접형 제품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피지컬 AI에는 내년 5천억 원을 배정했다. AI 로봇, 자동차, 조선, 가전·반도체, 공장 등 주요 사업이며, 이들 사업은 예비타당성 조사 면제를 통해 신속하게 추진할 수 있도록 했다.
광주 (에너지·모빌리티 AX),대구(로봇·바이오 AX), 경남(기계·부품 가공), 대전(버티컬AI 대전환), 전북(AI 팩토리 테스트베드), 부울경(해양·항만 AX) 등 지역 특화산업과 연계해 지역 거점을 조성한다. 이와 함께 제조, 바이오헬스, 주택·물류 등 생활밀접형 제품 300개를 선정해 개발을 지원하는 데 9천억 원이 투입된다.
1~2년 안에 즉시 개발 가능하며, 국민 활용도가 높은 제품 등이 주 대상이다.
내년부터 공모를 시작하는데, 선정된 기업에는 제품별로 개발비 10~40억 원이 지원되며 생산 설비나 제품화 등에는 융자가 지원된다.
지난 정부 때 삭감됐던 연구·개발(R&D) 예산은 35조 3천억 원으로 역대 최대 규모로 편성됐다.
AI, 바이오, 콘텐츠, 방산, 에너지, 제조 분야 첨단기술에 10조 6천억 원을 지원한다.
또 첨단 인력 3만 3천 명 확보하겠다는 목표로 국내 인재 양성, 해외 인재 유치, 우수 인력 유출 방지 등 3대 프로젝트를 추진한다.
국내 인재 양성을 위해 약 1조 4천억 원을, 개인 기초연구 지원에는 2조 3천억 원이 투입된다.
또 해외 석학급 인재를 유치할 경우 정부가 1인당 연 6억 원을 지원하고, 중견 연구자에는 최대 3억 5천만 원, 신진 연구자에게는 1억 3천만~1억 5천만 원을 지원한다.
<저작권자 ⓒ 시사TV코리아 (http://www.sisatvkorea.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