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가 이공계 인재 육성을 위해 연구 업적을 보유한 연구자에게 1억원 규모 지원금을 주는 ‘국가과학자’ 제도를 신설하고 AI 교육을 확대해 AI 연구자를 양성할 계획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오늘(7일) 대전 유성구 국립중앙과학관에서 열린 ‘다시 과학기술인을 꿈꾸는 대한민국 국민보고회’에서 이같은 내용이 담긴 ‘과학기술 인재 확보 전략 및 R&D 생태계 혁신 방안’을 발표했다.
우선 세계적 수준의 연구업적을 보유한 연구자 20명 내외를 국가과학자로 선정해 국민 존경을 받는 ‘과학자 모델’을 신설한다.
이들은 1억원 규모 연구활동지원금을 지급하고, 국가 R&D 기획과 정책 마련에도 참여시킨다는 계획이다.
과기부 관계자는 “2000년대 초반에 비슷한 제도가 있었지만 한, 두명 소수였지만 인원수를 대폭 늘릴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또 인공지능(AI) 시대에 대응하기 위해 이공계 학생을 대상으로 AI 교육을 강화해 AI 활용 역량을 갖춘 양손잡이 인재를 육성한다.
이와 함께 과학기술에 AI를 접목해 AI 시대의 연구자를 양성하고 지역 AI 과학영재학교를 확대해 지역 혁신도 주도할 방침이다.
특히 AI?양자?첨단 바이오 등 우리나라 미래성장동력 창출에 기여할 핵심전략기술 분야를 중심으로 2030년까지 해외 우수·신진 연구자 2,000명 유치해, 맞춤형으로 지원하고 국내 혁신 생태계를 보강할 계획이다.
이공계 대학원 장학금 수혜율은 현행 1.3%에서 2030년 10%까지 높이고 대학원생에 매달 일정 금액 지원을 보장하는 연구생활장려금 도입 대학도 35개에서 55개로 늘린다. 또 기업의 고경력 연구원 채용지원 및 출연연 우수연구원 제도도 확대하고 산학연 간 겸직을 활성화하고, 기업 연구자들의 성장을 위한 ‘기업연구자육성기금’도 신설하기로 했다.
연구자들의 행정 부담을 줄이는 방안도 포함돼 앞으로 연구비 중 직접비 10%를 자율 사용하고, 비목을 정해 운영하던 간접비는 ‘네거티브 규제’로 전환한다.
민간 R&D 참여를 높일 수 있도록 분담 비율도 중소기업은 25%에서 20%로, 대기업은 50%에서 40%로 줄이기로 했다.
배경훈 부총리 겸 과기정통부 장관은 “역대 최대 규모인 35조 원의 R&D 예산을 제대로 쓰고 ‘다시 과학기술인을 꿈꾸는 대한민국’을 실현해 과학기술인이 미래를 책임지는 과학기술 강국으로서의 대한민국을 만들어 가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시사TV코리아 (http://www.sisatvkorea.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