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방치동물 등에 대한 긴급구호 체계를 강화한 '긴급보호동물 인수보호제'를 전국 최초로 실시한다.
지난해 설립한 '동물복지지원센터'를 컨트롤타워로 동물 보호자의 사망, 장기입원 등으로 방치될 위험에 노출된 동물을 인수 보호하는 사업을 2월부터 본격 추진한다.
긴급보호동물 인수보호제 절차는 긴급보호 대상 동물 발생시 발견 시민이 해당 구청에 긴급보호를 요청하면 자치구에서 현장조사를 통해 긴급보호대상 적합여부를 확인해 요건에 적합하다고 판단될 경우 동물의 최종 소유권을 이전받아 서울동물복지지원센터로 인계해 동물의 치료와 보호가 이뤄진다.
또한 해당동물을 치료한 후 일반 시민이 입양할 수 있도록 조치를 취할 계획이며 학대받는 동물에 대한 피학대 동물의 보호체계도 강화한다. 학대행위로 인해 학대자로부터 격리가 필요한 동물이 중대한 상해로 응급치료가 필요한 경우 자치구는 해당 동물을 서울동물복지지원센터 동물병원으로 이송해 치료받을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앞으로 피학대동물을 구조한 뒤 서울동물복지지원센터에 필요한 치료를 요청할 수 있으며 피학대 동물은 응급치료가 끝난 후 각 자치구 동물보호센터로 인계된다.
서울시는 긴급보호동물 보호 및 관리 업무 매뉴얼을 배포해 피학대 동물과 긴급보호동물 발생시 신속한 구조와 치료를 실시하고 치료가 끝난 동물은 입양될 수 있도록 시와 자치구간 유기적인 업무체계를 강화할 계획이다.
나백주 서울시 시민건강국장은 "동물보호를 위해 피학대 동물에 대한 정책이 강화되길 원하는 시민의 요구를 반영하고 동물의 입장에서 동물보호 정책이 무엇인지 고민해왔다"며 "이번 전국 최초로 도입한 긴급보호동물 인수보호제 시행으로 시민과 함께 동물의 인수, 보호, 입양까지 원스톱서비스를 실시할 계획이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시사TV코리아 (http://www.sisatvkorea.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