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위원장은 4?27판문점선언을 통해 남북교류를 위한 내용을 구체화 시켰다. 특히 정부는 물론 ‘국회와 정당, 지방자치단체, 민간단체 등 각계각층이 참가하는 민족공동행사를 적극 추진해 화해와 협력의 분위기를 고조시킨다’고 명확히 밝혀 제도적으로 못박았다.
제주는 지난 1999년 1월 지방비와 제주도민의 성금을 통해 남북교협력과 동포돕기차원으로 감귤 100톤을 시작으로 12년간 북한감귤보내기사업을 추진해온 남북교류의 대명사이다. 2010년 천안함폭침사건으로 남북교류가 전면중단되긴 했지만 감귤에 이어 당근, 제주흑돼지, 마늘, 겨울옷, 의약품, 목초 종자, 자전거 등도 남북민간교류의 가교역할을 해왔다. 북측은 이에 대한 화답으로 4차례에 걸쳐 제주도민 836명을 초청, 물자에 이어 사람의 왕래까지 이어나갔다.
2015년에는 민족화해협력범국민협의회(민화협)와 남북협력 제주도민운동본부가 광복 70주년, 분단 70년, 대북지원 20주년을 기념하는 ‘민족화해 제주포럼’에서 ▲북한감귤보내기 재개 ▲제주와 북한을 잇는 평화크루즈개설 ▲‘한라에서 백두까지’ 남북한 교차관광 ▲한라산-백두산 생태·환경보존 공동협력사업 ▲제주포럼 북측 대표단 참석 등 5대사업을 제안하는 등 남북교류의 재개를 위한 발판을 마련하기도 했다. 여기에 ‘카본프리 아일랜드 2030계획’을 통해 제주도의 분산 자립형에너지 조성모델을 북측에 적용하는 것까지 포함, ‘남북교류협력 5+1사업’은 상당한 평가를 받고 있다.
남북정상회담장인 판문점에서 만난 북측의 한 관계자는 “제주에서 오랫동안 감귤을 보내준 것을 북측에서 깊이 기억하고 있다”며 그동안 제주의 남북교류사업에 대한 관심을 표하기도 했다.
이번 4?27정상회담의 막후역할을 한 제주출신 문정인 교수는 비핵화와 종전선언, 평화체제 구축 외에도 ‘자치단체-민간’차원 교류의 문이 열렸다며 제주의 역할론을 강조했다.
문 교수는 “이번 남북합의는 지방정부도 직접교류할 수 있도록 문을 열어 놓은만큼 명실상부 남북교류의 선도적 역할을 해온 제주의 역할이 더욱 커질 것”이라며 “감귤과 당근, 흑돈 종자 등 유엔제재에 크게 문제되지 않는 범위에서 교류를 우선 재개하고 오는 6월 제주포럼에 북측인사의 참여도 적극 추진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시사TV코리아 (http://www.sisatvkorea.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