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제주도에 체류 중인 예멘인 등 난민 수용 문제와 관련해 현황 파악을 지시했다고 청와대가 20일 밝혔다.
김의겸 청와대 대변인은 이날 춘추관에서 브리핑을 통해 난민 문제를 묻는 기자들의 질문에 “제주도는 비자 없이 외국인이 들어올 수 있지만 무사증 입국 불허 국가에 지난 1일부터 예멘을 추가해 더는 들어올 수 없는 상황”이라며 “현재 상태로는 500여 명이 들어와 있다”고 설명했다.
김 대변인은 이어 예맨 난민 대응 대해서는 우선 “난민 신청일로부터 원래는 6개월이 지난 뒤에야 취업이 가능하다”며 “그런데 인도적 필요성에 따라 그 전이라도 내국인의 일자리를 침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농사, 축산 등 취업 허가를 내준다”고 말했다.
또 “지금 예멘 난민들이 들어와서 경비를 다 쓰고, 거의 재정적으로 어려운 상황이기 때문에 빵과 밀가루 등 식자재를 지원하고, 무료 진료 등 의료 지원을 실시한다”고 강조했다.
이와 함께 “순찰을 강화하고, 범죄 예방에 집중적으로 나서서 불필요한 충돌이나 잡음을 방지한다”며 “제주도민을 중심으로 걱정과 우려가 나오고 있어 실제 위험한지와 관계없이 정부가 할 수 있는 조치를 하는 것”이라고 밝혔다.
이 같은 청와대의 세 가지 대응 방안은 지난 19일 제주특별자치도와 제주지방경찰청, 제주출입국·외국인청의 대책과 궤를 같이 하는 것이다.
김 대변인은 특히 정부의 난민정책 기조에 대해서는 추후 입장을 정리해 발표하겠다고 전했다.
한편 제주지역 무사증 입국 불허 국가는 예멘을 포함해 모두 12개 나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