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가 23일 올 초 발표 직후부터 계속 논란이 돼온 초·중등 역사교과서 교육과정 최종 개정안을 공개했다. '한반도 유일 합법 정부' '북한 도발' '북한 인권'이라는 세 가지 문구를 삭제한 게 핵심이다. 각계의 비판 중 최종안에 반영된 유일한 수정 사항은 교육과정에 '자유민주적 기본질서'를 명시한 것뿐이다. 교육부는 오는 27일 교육과정 개정 고시(告示)를 통해 이를 확정한다. 국정인 초등 사회과 교과서는 2019년 3월부터, 검정인 중·고교 새 역사교과서는 2020년 3월부터 학교 현장에서 쓰이게 된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여전히 이번 교육부 결정이 본질을 놓쳤다고 지적했다. 헌법학자 장영수 고려대 교수는 "우리는 '인민민주주의'를 표방하는 북한과의 관계 때문에 '자유민주주의'라는 확실한 표현으로 차이를 드러내야 한다"며 "교육부는 자유민주주의와 헌법의 자유민주적 기본질서가 비슷한 개념이라고 본 것 같은데, '자유민주적 기본질서'라는 표현은 학문적으로 자유민주주의만큼 분명하게 '자유'의 가치를 보여주지 못한다"고 했다.
교육부는 최종안에서도 '한반도 유일 합법 정부'라는 표현을 뺐다. 교육부는 지난달 행정예고 당시 "국가기록원 자료대로라면 (대한민국은) 유엔 선거 감시가 가능한 지역에서 수립된 유일한 합법 정부"라고 했다. 한국은 '38선 이남에서 수립된 유일한 합법 정부'라는 고(故) 리영희 교수 주장을 따르는 것이다. 그러나 역사학계는 "리영희 교수 주장은 유엔 총회 결의 앞·뒷부분을 연결하면서 빚어진 오역(誤譯)이며, 대한민국이 1948년 유엔이 인정한 유일 합법 정부가 맞는다"고 지적해왔다. 유엔 총회 결의 제195호 2항은 "그리고 이것은 한반도에서 유일한 그런(합법) 정부임을 선언한다(and that this is the only such Government in Korea)"고 돼 있다.
출처 :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8/07/24/2018072400091.html
<저작권자 ⓒ 시사TV코리아 (http://www.sisatvkorea.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