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특별자치도는 6일 오후 4시, 원희룡 제주특별자치도지사 주재로 ‘코로나19 대응 영상회의’를 개최했다.
이날 회의는 코로나19 대응 최일선에 있는 실무부서 및 관계기관 관계자 2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현장 애로사항과 개선대책에 대해 집중 논의했다.
원희룡 지사는 인사말을 통해 “지역사회 확산을 막기 위해 긴장을 늦추지 말아야 할 때”라며 “다른 시·도의 사례를 봤을 때 집단활동을 통한 지역사회 전파가 가장 취약한 고리로 파악된다”며 집단시설 및 활동에 대한 철저한 방역대책 수립을 주문했다.
원희룡 지사는 신속한 대응을 위한 체계적인 보고 체계 확립과 마스크 등 방역물품의 효율적 배분도 강조했다.
원 지사는 “방역에 사소한 구멍이 발생하면 곧바로 무차별 감염사태로 이어질 수 있는 만큼, 사소한 문제라도 신속하게 보고함으로써 발 빠르게 대응할 수 있어야 한다”고 보고체계의 점검을 지시했다.
이어 “마스크의 경우 부서·행정시별로 구입해 배분하고 있지만, 필요성이나 우선순위에 따라 효율적인 배분이 아닌 산발적이나 중복 분배되면 비상시에 소진되는 최악의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며 “방역물품 구매와 보유, 분배를 단일체계로 통일된 기준에 따라 집행해 달라”고 당부했다.
특히 원 지사는 “코로나19 지역 확산 방지를 위한 모든 대책의 본질은 방역에 있다”면서 “제주도는 본질에 충실한 대책을 추진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회의에서는 일선 현장에서 겪고 있는 인력과 마스크 확보 방안과 함께 특히, 공적 마스크 공급의 사각지대를 해소하기 위한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문재원 연동장은 “마스크가 품귀현상을 보이면서 마스크 수급에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 자체적으로 구입해 행정에서 배부했으면 좋겠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김문형 우도면장은 “우도에는 농협과 우체국, 약국이 없어 공적 마스크를 지원받지 못하는 애로사항이 있다”며 “도서지역에도 공적 마스크를 공급받을 수 있도록 적극 협조해 달라”고 요구했다.
이에 대해 원희룡 지사는 “정부의 공적 마스크 공급에 소외되고 있는 점에 대해서는 해당 부서가 중앙정부에 적극 건의해 대책을 마련하라”고 지시했다.
<저작권자 ⓒ 시사TV코리아 (http://www.sisatvkorea.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