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성곤, 대정부질의...“대대적인 숲가꾸기로 탄소흡수량 6000만톤 가능”

위성곤, 대정부질의...“대대적인 숲가꾸기로 탄소흡수량 6000만톤 가능” [김형인 기자 2021-09-16 오후 1:59:11 목요일] anbs01@hanmail.net

더불어민주당 위성곤 의원(서귀포시)이 지난 15일 열린 경제분야 대정부 질의에서 김부겸 국무총리에게 ‘산림탄소흡수 목표치 6000만톤으로 상향과 대대적인 숲가꾸기로의 정책 추진’의 필요성에 대해 질의했다.

 

위 의원은 “산림은 인류에게 가장 오래된 자원이자 기후위기 시대에는 가장 미래적인 자원”이라며“숲을 잘 지키고 가꾸어야만 우리 인류가 생존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산림을 이용한 탄소감축비용은 톤당 6달러로 발전 21달러, 건물 76달러, 자동차 96달러 등 타 산업분야에 비해 가장 경제적인 방법”이라며“유럽은 최근 ‘Fit for 55’를 발표해 산림의 탄소흡수량 목표를 38%나 상향해 이러한 유럽의 정책에 주목해야 한다”고 밝혔다.

위 의원은 “우리는 지난 8월 발표된 2050 탄소중립시나리오 초안 상 산림을 포함한 온실가스흡수 목표가 현재 4150만톤에서 2050년 2470만톤으로 오히려 줄어들었다”며 “탄소중립위원회 100인 중 산림 전문가가 1명도 없을 정도로 산림이 홀대 받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우리 산림의 탄소흡수량은 2008년 6150만톤이었지만 2018년에는 4560만톤으로 26%나 줄어들었고, 산림의 성장량도 10년 뒤에는 절반이하로 감소될 전망이며, 현재 목재 자급률은 15%에 불과하고, 병충해와 산불에도 더 취약한 산림이 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특히“이와 같은 산림 문제의 원인은 산림 과밀화에 있다”라며“대대적인 숲가꾸기를 통해 숲을 가꾸고 임도를 획기적으로 늘려야 한다. 이를 통해 2050년 산림의 탄소흡수량 목표를 6000만톤으로 과감히 상향하자”고 제안했다.

그러면서“산림 5,000ha씩을 대상으로 5m의 영구임도를 개설하고 상하 방향으로 숲 가꾸기를 진행하면, 25년이내 임도건설 비용을 회수할 수 있고, 지속적인 산림경영이 가능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에 대해 김부겸 국무총리는 “좋은 제안을 해주셨다”라며 “탄소중립위원회에 산림전문가를 포함시키는 문제를 포함해 숲가꾸기가 체계적으로 이뤄질 수 있도록 다시 한번 정책을 살펴보겠다”고 답변했다. 

인쇄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