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직원공제회의 자산운용 수수료와 지급 비용이 최근 4년간 2배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수익률이 안 좋은 운용사에 대해서도 계속 계약을 이어가는 것으로 풀이된다.
5일 국회 교육위원회 박찬대 의원(더불어민주당, 인천 연수 갑)에 따르면, 최근 4년 간 공제회의 자산운용 수수료 및 지급 비용은 지속적으로 늘어나 2018년 48.1억원에서 올해 102.6억 원으로 약 2배 이상 증가했고, 자산위탁 운용사는 14곳에서 30곳으로 확대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운용사가 늘고 수수료 및 지급비용이 늘었지만 실적은 직접 운영보다 상대적으로 성과가 낮았다.
특히, 2019년도에는 직접 채권 운용 실적이 4.5%에 달했으나 위탁 기간은 오히려 ?0.2%를 기록 했으며, 지난해 위탁업체도 수익을 냈으나 직접 운영 실적이 15% 넘게 차이가 날 정도로 상대적 성과는 낮았다.
하지만 공제회는 자산운용사에 대해 실적저조를 이유로 위탁계약을 해지한 경우는 전무했다. 2018년도의 경우는 머스트자산운용을 제외한 전 운용사가 마이너스 성과를 기록했지만, 수수료와 지급 비용으로 48억원을 지급하기도 했다.
그러는 사이 신규 운용사는 2019년에 2곳, 지난해 8곳, 올해 5곳이 증가했다.
박 의원은 “공제회 위탁사 수익률은 단순하게 기관뿐 아니라 정부지원과도 연계돼 있어 매우 중요한 항목”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공제회가 2018년도 결손 발생 이 후 2019년도부터 계약서를 통해 결손 발생에 대한 수수료, 지급비용을 제한했지만, 경쟁을 통한 수익을 극대화하기에는 여전히 미흡하다”라며“차 후에도 운용사들의 평가를 보다 경쟁적으로 이끌어 낼
<저작권자 ⓒ 시사TV코리아 (http://www.sisatvkorea.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