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 친박계와 비박계가 강하게 충돌하는 가운데 지난 9일 탄핵안 표결 결과가 다시 주목받고 있다. 당시 확인된 팽팽한 당내 세력 균형 때문에 양측 모두 물러설 수 없는 극단적 대치 상황이 만들어졌다는 것이다. 당내에선 ‘탄핵 표결의 저주’라는 말도 나온다.
당시 탄핵안 가결에는 야권 의석(172표)을 감안할 때 새누리당에서 28표 이상 찬성표가 필요했다. 하지만 결과는 새누리당에서 최소 62표의 찬성표가 나왔고, 반대는 56표, 무효 7표, 기권 2표, 불참 1표였다. 이 가운데 무효와 기권은 표기를 잘못했거나 아예 공란으로 남겨둔 표로서 ‘탄핵 통과’에 도움이 안 돼 반대표에 가깝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찬성표 62표와 사실상의 반대표 합계(66표)를 비교하면 양측이 팽팽하게 맞선 형국이다.
친박과 비박이 서로 “당을 나가라”고 하고 있지만 당헌·당규상 현역 의원 제명은 소속 의원 3분의 2 이상이 찬성해야 한다. 9일 확인된 당내 표심으로는 한쪽이 다른 쪽을 제압하기 힘들다. 여기에 비박계와 친박계가 탄핵안 표결과 관련해 서로 자기에게 유리한 면만 부각시키며 갈등이 더 커졌다. 지난 4월 총선 직후 당내 친박계는 최대 80~90명에 육박했고, 비박계는 40명 정도였다. 따라서 20명 이상이 ‘탄핵 찬성’으로 넘어온 표결 결과는 비박계로의 힘의 이동을 보여주는 측면이 있다. 비박계는 “대세는 우리 쪽으로 넘어오고 있다”면서 “인적 청산
이 필요하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