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 대통령은 오늘(1일) 서울의 한 북카페에서 ‘제21차 비상경제 민생회의’를 주재하고, 소상공인과 택시기사, 청년, 주부 등 국민 60여 명과 ‘타운홀 미팅’ 방식으로 민생 현안을 논의했다.
윤 대통령은 회의를 시작하면서, 자영업자들의 어려운 현실을 보고 정치를 시작하게 됐다고 밝혔다.
그러면서도 “대통령직을 수행하다 보니 (답을 내놓는 게) 참 쉽지 않다. 결국은 돈이 들기 때문”이라며 “불요불급한 것(예산)은 줄이고 정말 어려운, 서민들이 절규하는 분야에 (예산을) 재배치시켜야 하는데 받아오던 사람들은 죽기 살기로 저항한다. 받아오다가 못 받는 쪽은 그야말로 ‘대통령 퇴진 운동’한다”고 밝혔다.
최근 내년도 예산안에서 국가 연구개발(R&D) 예산 삭감과 조정, 23조 원 규모의 예산 구조조정 등에 대한 비판이 나오는 데 대해 반박하면서, 정부 예산안 추진 의지를 밝힌 것으로 풀이된다.
윤 대통령은 전두환 정부 ’경제 대통령‘으로 불렸던 김재익 전 청와대 경제수석을 언급하면서, “(김 전 수석이) 그때 막 재정을 늘려야 된다는 요구가 정계에서도 있었지만, 그걸 잡아서 물가를 잡았다”고 말하기도 했다.
정부 재정 운영의 기조를 나랏빚을 억제하는 ’건전 재정‘으로 밝힌 가운데, ’돈을 풀어 경기를 살려야 한다‘는 의견을 반박한 거로 해석된다.
윤 대통령은 예산으로 탄핵 얘기까지 나오는 상황을 ’정치 과잉‘이라고 표현하면서, “’정치 과잉 시대‘에 이런 걸(예산 재배치) 하기가 정말 어렵다. 하지만, 유불리 안 따지겠다고 했다. 선거를 위한 정치가 아니라, 국민을 위한 정치를 하겠다고 했다”고 밝혔다.
윤 대통령은 “누구의 책임으로도 돌리지 않겠다”면서 “잘 경청해서 국정에 제대로 반영하겠다. 모든 것은 제 책임. 제가 잘하겠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시사TV코리아 (http://www.sisatvkorea.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