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살률 세계 최고, 그것도 모자라 오히려 10% 증가

인구 10만 명당 자살률 24.1명, OECD 평균(10.7명)의 두 배 이상 유일하게 20명을 넘는 수치 [양동익 기자 2024-08-07 오후 12:23:49 수요일] a01024100247@gmail.com

 

 

우리나라 자살률이 세계 최고 수준을 기록하는 가운데, 올해 5월까지 자살사망자가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10%가량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유투브 https://www.youtube.com/watch?v=8HWQMb_79rE

 


?

 

보건복지부는 6일 서울 중구 웨스틴조선호텔에서 제7차 생명존중정책 민관협의회를 개최해 자살 대응을 위한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생명존중정책 민관협의회는 2018년에 구성된 협의체로, 복지부를 포함한 6개 정부 부처와 종교계·재계·노동계·언론계 등 37개 민간기관이 참여하고 있다. 공동위원장은 조규홍 복지부 장관과 최종수 성균관장이 맡고 있다.

 

이번 협의회에서는 지난해부터 최근까지의 자살사망 동향과 이에 대응하는 정부 정책이 보고됐다. 복지부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5월까지 자살사망자 수는 총 6,375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0.1% 증가했다. 2023년 전체 자살사망자 수의 잠정치는 13,770명이다.

 

정부는 코로나19 사태 이후 사회적 고립과 경제난, 우울·불안 증가 등의 요인이 자살사망자 수 증가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했다. 지난해 말 유명인의 자살사망 사건 이후 7∼8주간 모방자살이 증가한 것도 상반기 증가분에 영향을 미쳤다.

 

우리나라 자살사망자 수와 자살률은 2013년 사망자 수 14,427명, 인구 10만 명당 28.5명을 기록한 이후 2022년까지는 줄어드는 추세였다. 그러나 지난해 자살사망자 잠정치 13,770명은 전년보다 864명(6.7%) 증가한 수치로, 이는 2020년 이후 가장 높은 사망자 수다.

 

우리나라의 자살률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에서 가장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통계청에 따르면 2020년 연령표준화 인구 10만 명당 자살률은 24.1명으로, 이는 OECD 평균(10.7명)의 두 배 이상이며 유일하게 20명을 넘는 수치다. 2위인 리투아니아(18.5명)와는 5.6명 차이가 난다.

 

협의회는 올해 총 자살사망자 수가 지난해보다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자살예방 주요 추진 과제와 민·관 협력 내용을 공유했다. 정부의 주요 추진 과제는 자살예방 실천 메시지 홍보, 모방자살 방지를 위한 보도환경 개선, 자살예방 교육 의무화, 자살 시도자 등 고위험군 발굴 강화 등이다.

 

민간기관 협력 내용으로는 종교계 7대 종단의 생명사랑 희망 메시지와 대국민 캠페인, 재계·노동계의 청년층 대상 자살예방사업 홍보와 생명존중 콘서트 등의 성과가 공유됐다. 이 밖에도 자살예방의 날인 9월 10일 사회복지법인 생명의전화가 개최하는 ‘생명사랑 밤길걷기’ 내용과 행사 지원 방법 등이 논의됐다.

인쇄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