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까 드렸잖아요. 자주 오시잖아요. 왜 이러세요?"
13일 오전 10시 40분, 서울 성동구 마장동 자전거체험학습장 인근 '샘물창고' 앞. 자원봉사자 김모 씨(60대)와 나모 씨(60대)가 냉장고 앞을 지키며 시민들과 실랑이를 벌였다. 원칙은 '1인 1병'이지만, 더 많은 생수를 가져가려는 시민들 때문에 매일 같은 일이 반복되고 있다. 이날 채워진 500ml 생수 200병은 15분 만에 모두 소진됐다.
유투브 https://www.youtube.com/watch?v=5u76_oyxdhc
김 씨는 "줄 서서 받고는 조금 있다가 다시 와서 다른 시민들이 물을 꺼낼 때 기습적으로 가져가는 경우도 있다"며 "그래서 2명이 지키고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최근 성동구 맘카페에는 생수 냉장고를 둘러싼 문제를 지적하는 글이 올라왔다. 한 회원은 "어느 날 물이 없길래 보니, 할머니 한 분이 몇십 병씩 가져가더라"며 "말리니까 욕을 하고 가셨다"고 전했다. 이 글을 본 다른 회원들은 "차라리 없애라", "생수 거지를 양산하고 있다"며 비판을 이어갔다.
여름철 폭염에 대비해 여러 지자체가 운영하는 무료 생수 냉장고는 좋은 취지로 시작됐다. 성동구의 '샘물창고', 중구의 '오!빙고', 중랑구의 '옹달샘' 등 각기 다른 이름으로 운영되며, 이 냉장고에는 수억 원의 예산이 투입되었다. 그러나 모든 지자체가 이 정책을 시행하는 것은 아니며, 일부 지역은 무더위쉼터나 이동노동자를 대상으로 한 서비스에 그치고 있다.
중복 수령 문제가 심각합니다. 일부 시민들은 "친구들 대신 받는다", "500ml로는 부족하다" 등 다양한 이유로 더 많은 생수를 요구하고 있다. 성동구와 중구의 냉장고는 보충 후 30분에서 1시간 이내에 물이 모두 동났다. 생수를 받지 못한 시민들은 "주민등록증을 확인해 구민만 받을 수 있게 하라"고 불만을 표출했다.
플라스틱 쓰레기 문제도 지적된다. 무라벨 생수라고 해도 여름 내내 수만 개의 페트병이 버려지기 때문이다. 지자체는 옥외 정수기 설치 시 위생 문제를 이유로 병 생수를 제공하고 있다고 해명하지만,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버려진 페트병이 환경 오염을 초래한다는 비판이 나온다.
전문가들은 굳이 야외에 냉장고를 설치할 필요가 있냐고 의문을 제기한다. 주민센터에 정수기나 제빙기를 설치하는 것이 더 효율적이라는 의견이다. 한 교수는 "발상은 참신하지만, 기존 시설을 활용해도 충분하다"며 "세금 낭비 우려가 크고, 선별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무료 생수 냉장고 운영의 실효성에 대한 전면적인 재검토가 필요하다.
<저작권자 ⓒ 시사TV코리아 (http://www.sisatvkorea.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