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차 세계대전 이후 공중전 기술은 비약적인 발전을 이루었지만, 조종사 간 전투에서 승패를 가르는 요소는 크게 변하지 않았다. 여전히 조종사가 전사하거나 포로로 잡힐 위험이 존재하는 항공 작전은 공군에게 정치·군사적 부담을 안겨왔다. 이에 각국 공군은 4차 산업혁명 기술을 활용한 공중작전 개념에 관심을 두고 있다. 한국 공군 역시 무인 기술과 인공지능(AI)을 통한 미래 전력 구상에 나서고 있다.
유투브 https://www.youtube.com/watch?v=VSoqOwgM004&t=14s
한국 공군은 6일 서울 웨스틴조선호텔에서 열린 항공우주력 국제학술회의에서 무인 기술과 AI를 활용한 미래전 수행 개념을 발표했다. 공군은 우크라이나 전쟁에서 어느 한쪽도 공중 우세를 확보하지 못한 사례를 들며, 전통적인 공군력으로는 신속하고 지속적인 공중우세를 유지하기 어렵다는 점을 지적했다. 미래 전장에서는 드론과 극초음속 무기 등 신기술을 적극적으로 활용해야 한다는 것이다.
공군이 강조하는 핵심 개념은 ‘유·무인복합체계’다. 이는 유인 전투기가 다수의 드론을 운용하는 방식으로, 유인 전투기와 무인 드론이 함께 임무를 수행하는 새로운 공중전 개념이다. 이 체계는 위험한 임무에서 조종사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미 호주를 비롯한 여러 나라가 유·무인복합체계 개발에 나서고 있다. 호주는 미 보잉사와 함께 ‘로열 윙맨’이라는 무인 드론을 개발해 F-35 전투기와 연동하는 시험 비행에 성공했다. 한국 역시 대한항공과 한국항공우주산업(KAI) 등이 무인 드론 기술을 연구하고 있으며, 공군은 ‘선(先) 무인, 후(後) 유인’ 개념에 따라 무인기가 먼저 적지에 침투한 후 유인 전투기가 뒤따르는 방식의 전투 개념을 제시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미래 전력 구상에는 해결해야 할 과제도 많다. 공군은 다양한 무기 체계를 통합하고 실시간으로 연결하는 기술적 문제와 막대한 예산이 필요하다는 점에서 난관에 직면해 있다. 또한, 북한의 위협을 비롯해 중국 등 주변국의 전력 증강을 고려해야 하는 상황에서 미래전 기술 개발이 얼마나 효율적으로 이루어질지도 중요한 변수다.
한국 공군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기술 개발의 우선순위를 정하고, 단계적으로 무기 도입을 추진할 방침이다. 공군은 AI를 적용한 무기 체계와 기술 도입을 통해 미래전 수행 능력을 강화하고, 국방부와의 협력을 통해 충분한 예산을 확보해 나가겠다는 계획이다.
공군의 미래 전력 구상이 현실화되기까지는 많은 시간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한국에 적합한 미래 전쟁 개념을 개발하고 이를 바탕으로 전력 구조를 구성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세계의 최신 트렌드를 반영하되, 한국 군사 환경에 맞는 전략을 수립해 나가는 것이 공군의 당면 과제다.
<저작권자 ⓒ 시사TV코리아 (http://www.sisatvkorea.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