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주특별자치도는 고용노동부에서 추진하고 있는 국민취업지원제도의 운영규정이 일부 개정됨에 따라 7월부터 국민취업지원제도의 지원대상자가 확대된다고 밝혔다.
올 1월부터 시행 중인 국민취업지원제도는 청년 등 고용 취약계층에게 최대 300만 원의 구직촉진수당과 취업지원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마련됐다.
이번 개정을 통해 만 18세 이상 34세 이하의 청년 가구 재산 상한 요건이 기존 3억 원 이하에서 4억 원 이하로 완화된다.
이는 부모와 함께 거주하는 청년층의 경우 부모의 재산으로 수급자격 인정을 받지 못하는 경우가 있고, 특히 제주의 경우 부동산가격 상승으로 재산요건을 초과해 지원받지 못하는 점을 반영했다.
정부는 청년들이 취업 경험과 무관하게 지원받을 수 있도록 하고, 청년을 포함한 모든 참여자의 가구단위 중위소득 요건을 현행 50% 이하에서 60% 이하로 완화하는 등 더 많은 저소득 구직자가 혜택 받을 수 있도록 법률을 개정해나갈 방침이다.
제주도는 지원 요건이 완화됨에 따라 보다 많은 고용 취약계층이 참여할 수 있도록 홍보를 강화할 계획이다.
우선 실업급여 종료자를 대상으로 안내문자와 함께 홍보물을 우편으로 발송한다. 또한, 사업 시행 초 신청했다가 취소한 대상자를 대상으로 참여를 독려하고, 특성화고·대학·직업훈련기관을 방문해 국민취업지원제도를 홍보할 예정이다.
국민취업지원제도에 대한 신청 및 문의는 고용센터를 방문하거나, 국민취업지원제도 신청 홈페이지를 이용하면 된다.
제주시: 제주시 중앙로 165, 고용복지플러스센터 2층(710-4592~3) / 서귀포시: 서귀포시 동홍동 186, 서귀포고용센터 4층(710-4595) /국민취업지원제도 신청 홈페이지: www.korea-ua.com
최명동 도 일자리경제통상국장은 “고용위기 상황에서 제도의 지원 대상을 확대한 만큼 더 많은 구직자들이 국민취업지원제도에 참여할 수 있도록 홍보에 만전을 기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시사TV코리아 (http://sisatvkorea.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2025년 풋귤 출하농장 지정 완료
제주특별자치도가 2025년 풋귤 출하농장 지정을 완료하고, 214농가가 지정돼 ..
2025년 제1차 제주관광진흥협의회 ..
제주도는 26일 2025년 제1차 제주관광진흥협의회를 열고 대국민여행지원 사업과..
제주도 올여름 축산재해 대책 마련
제주특별자치도는 올여름 폭염·태풍·집중호우 등 기상재해로부터 축산농가를 보호하기..
제주도-제주테크노파크 용암해수단지 내..
제주특별자치도와 (재)제주테크노파크(원장 지영흔)는 용암해수단지 내 기업 입주 ..
제주도-경제통상진흥원 태국방콕에서 식..
제주특별자치도와 제주특별자치도 경제통상진흥원이 도내 식품기업의 아세안시장 진출을..
제주도 분산에너지 특화지역 최종후보지..
제주특별자치도는 산업통상자원부가 21일 발표한 분산에너지 특화지역 실무위원회 평..
제주도-현대홈쇼핑과 업무협약 체결
제주특별자치도가 국내 대표 TV쇼핑 유통기업인 현대홈쇼핑과 제주 농수축산물 판매..
제주도 신혼부부와 출산가구 위해 주택..
제주특별자치도가 주거비 부담으로 고민하는 신혼부부와 출산가구를 위해 복권기금 재..
제주도 베트남 말레이시아 중심 아시아..
제주특별자치도가 베트남·말레이시아를 중심으로 한 아시아 수산물 시장 공략에 박차..
제주도-넷플릭스 제주 콘텐츠 세계화 ..
제주특별자치도가 글로벌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OTT) 기업 넷플릭스와 손잡고 제..
제주도-싱가포르와 경제 문화 협력 확..
제주특별자치도가 싱가포르와의 경제·문화 협력을 항공 직항노선 성공에 이어 농축산..
제주민속자연사박물관 '요가로 몸, 명..
제주민속자연사박물관에서 2025년 6월 10일부터 7월 1일까지 매주 화요일 저..
제주도 한림읍 비양도 첫 드론 배송 ..
제주특별자치도가 국토교통부의 ‘2025 드론 실증도시 구축사업’의 일환으로, 한..
제주농업기술원 '청년농업인 학교' 운영
제주특별자치도 농업기술원(원장 고상환)이 지역 농업의 미래 성장 동력 확보를 위..
제주도-홍콩 협력 강화방안 논의
제주특별자치도와 홍콩이 경제, 교육, 관광, 무역, 디지털 전환 등 다양한 분야..
‘가장 살기 좋은 도시’ 세종시의 굴욕 ‘가장 살기 좋은 도시’ 세종시의 굴욕 세종시의 상업 시설들이 줄줄이 폐업하고 있다. 정부세종청사 바로 앞에 위치한 4성급 B 호텔은 25일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