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유빈 '고교포기 이유' 논쟁 재점화
학생 선수의 학습권이 다시 주목 [양동익 기자 2024-08-01 오전 11:38:05 목요일] a01024100247@gmail.com
‘탁구 신동’ 신유빈(20)이 2024 파리 올림픽에서 메달을 획득하며 학생 선수의 학습권이 다시 주목받고 있다. 신유빈 선수는 운동에 전념하기 위해 고교에 진학하지 않고 실업팀으로 직행한 사례다.
유투브 https://www.youtube.com/watch?v=ShFuVmzakRg
학생 선수의 학습권과 운동권 우선순위는 오랜 논쟁이다. 1일 교육부에 따르면 학생 선수는 초·중·고 학교 운동부 소속 4만 6000명, 개인이나 사설 클럽 소속 2만 4884명으로 집계됐다.
학생 선수들은 일정 기간 정규 수업에 불참하고 훈련에 집중할 수 있다. 그러나 출석 인정 일수는 2019년 스포츠혁신위원회 권고에 따라 초등학교 5일, 중학교 12일, 고등학교 25일까지 축소됐다. 이는 정유라 씨의 부정 입학 사건이 배경이다.
스포츠계는 출석 인정 일수 축소가 학생 선수들을 학교 밖으로 내몰고 있다고 반발했다. 이에 방송통신고교에 진학한 학생 선수는 2019년 115명에서 지난해 514명으로 늘었다.
윤석열 정부는 지난해 1월 출석 인정 일수를 초등 20일, 중등 35일, 고등 50일로 확대했다. 이주호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고등학생은 2025년부터 출석 인정 일수를 63일까지 확대하는 것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학생 선수 중 프로가 되는 비율은 10%에도 못 미친다. 지난해 운동을 포기한 학생 선수는 1781명이며, 그 이유로 진로 변경(85.0%)이 가장 많았다. 운동선수 평균 은퇴 나이는 23.6세로, 은퇴 후 무직 비율도 41.9%에 달한다.
‘학생선수 최저학력제’는 체육계의 반발을 불러왔다. 올해 3월부터 교과 성적이 일정 수준을 넘지 못하는 학생 선수는 다음 학기 대회에 출전할 수 없다. 한 체육계 관계자는 “출석 인정 일수를 늘리면서 최저학력을 넘기라는 건 모순”이라고 지적했다.
강준호 서울대 사범대 학장(스포츠경영학 교수)은 “교육은 인간답게 성장하기 위해 필요한 기본적인 권리”라며 “스포츠를 진로로 정한 학생과 일반 대학에 진학하려는 학생들이 같은 내용으로 공부해야만 학습권이 보장되는 것인가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시사TV코리아 (http://sisatvkorea.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서울 / 인천·경기 / 강원 / 충남 / 충북 / 전남 / 전북 / 영남(본부) / 제주 뉴스HOT
-
제주 창업 길을 열다 토크콘서트 열어
제주특별자치도는 17일 제주더큰내일센터에서 ‘제주 창업 길을 열다’ 토크콘서트를..
-
제주도 올해 명장 3명 선정
제주특별자치도가 올해 제주도 명장 3명을 선정한다. 지역 산업현장의 우수한 숙련..
-
더불어민주당-제주도 예산정책협의회 열어
더불어민주당 정청래 대표가 17일 제주를 방문해 정기국회에서의 내년도 예산안 심..
-
제주도 2026년도 생활임금 결정
제주특별자치도는 2026년도 생활임금을 시간당 1만 2,110원으로 결정했다고 ..
-
제주도 도내 농어촌민박 지원
제주특별자치도는 관광객들이 안심하고 머물 수 있는 청결한 숙박환경을 조성하기 위..
-
민생회복 소비쿠폰 2차 지급 22일부..
제주특별자치도가 12일 마감된 ‘민생회복 소비쿠폰’ 1차 지급에서 99.04%의..
-
정부, 추석 성수품 할인 지원 역대 ..
정부가 이번 추석, 성수품 할인 지원 역대 최대 규모인 900억 원을 투입한다...
-
제주도 대규모 재해예방사업 본격화
제주특별자치도가 이상기후로 인한 자연재해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대규모 재해..
-
제주도 착한가격업소 신규업소 모집
제주특별자치도가 물가 안정에 기여하는 착한가격업소에 대한 지원을 대폭 확대하며 ..
-
제주도 스마트 농정 제주DA로 대통령..
제주특별자치도는 제42회 지역정보화 우수사례 발표대회에서 「데이터로 예측하고 실..
-
제주도 2026년도 주민참여예산사업 ..
제주특별자치도가 도민이 직접 제안하고 투표로 선정하는 2026년도 주민참여예산사..
-
제6회 서귀포은갈치축제 열려
제주 은갈치의 우수성을 널리 알리고 어업인의 노고를 격려하기 위한 「제6회 서귀..
-
제주도 전국 최초 농업디지털센터 구축
제주특별자치도가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농업 혁신으로 전국적인 주목을 받으며 행정..
-
제주도-신세계, 프리미엄 관광상품 개발
제주특별자치도가 국내 대표 유통기업인 ㈜신세계와 손잡고 제주 청정 농?수?축산물..
-
제주도-한국무역협회 '자카르타 국제 ..
제주특별자치도와 한국무역협회가 도내 소비재기업의 아세안 수출시장 개척을 지원하기..
TV 특집 프로그램
기획기사
‘가장 살기 좋은 도시’ 세종시의 굴욕 ‘가장 살기 좋은 도시’ 세종시의 굴욕 세종시의 상업 시설들이 줄줄이 폐업하고 있다. 정부세종청사 바로 앞에 위치한 4성급 B 호텔은 25일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