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 행정체제 졸리 . 권대정
대한항공 티볼트 jdc cccc n
홈- 뉴스 - 사회

배터리 실명제...인천 화재 전기차 '밴츠의 역설'

품질과 안전성 우수한 'K-배터리', 수혜 입을 전망 [양동익 기자 2024-08-11 오전 7:58:18 일요일] a01024100247@gmail.com

PRINT :    SCRAP :

 

 

정부가 인천에서 발생한 벤츠 전기차 화재 사고를 계기로 '배터리 실명제' 도입 등 대책 마련에 착수하자, 관련 업계가 예의주시하고 있다. 배터리 제조사 정보를 공개할 경우, 중국산 배터리보다 품질과 안전성이 우수한 'K-배터리'가 수혜를 입을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지만, 동시에 배터리에 대한 과도한 불신과 전기차 가격 상승 등 부작용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제기되고 있다.

 

유투브 https://www.youtube.com/watch?v=qAxbw4StjKU&t=120s




 

11일 업계에 따르면, 정부는 12일 환경부 차관 주재로 국토교통부, 산업통상자원부, 소방청 등이 참여하는 전기차 화재 관련 합동 회의를 개최할 예정이다. 이는 지난 1일 인천 청라의 한 아파트에서 발생한 메르세데스-벤츠 EQE 화재 사고 이후 확산된 '전기차 공포증'에 대응하기 위한 조치다. 정부는 업계의 의견을 수렴해 다음 달 초 종합 대책을 발표할 계획이다.

 

핵심 쟁점은 '배터리 실명제' 도입 여부다. 국토부는 전기차에 탑재된 배터리의 제조사와 유형 정보를 공개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며, 관련 시행령과 규칙 개정이 논의되고 있다. 현재 소비자는 전기차 구매 시 배터리 정보를 확인하기 어려운데, 이러한 관행을 개선하겠다는 취지다. 유럽연합(EU)은 2026년부터, 미국 일부 주에서는 이미 배터리 정보 공개 의무화를 추진 중이다.

 


 

 

배터리 실명제 논의는 벤츠 EQE 차량 화재 원인이 중국 배터리 제조사 '파라시스' 제품에서 비롯된 것으로 확인되면서 본격화되었다. 당초 세계 1위 배터리 업체 CATAL의 제품이 탑재된 것으로 알려졌으나, 다른 제품으로 밝혀지면서 논란이 커졌다. 파라시스 배터리는 2021년 중국에서 화재 위험으로 인해 리콜된 이력이 있다.

 

업계는 배터리 실명제가 도입될 경우, K-배터리가 큰 수혜를 볼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중국산 배터리는 가격 경쟁력으로 세계 시장을 빠르게 장악하고 있으나, 한국에 비해 짧은 업력으로 인해 품질과 안전성 논란이 꾸준히 제기되어 왔다. 배터리 정보가 공개되면, 국내산 배터리에 대한 시장 선호도가 더욱 높아질 것이라는 예상이다.

 

특히, 벤츠 EQE에 탑재된 파라시스 제품은 중국이 주력으로 생산하는 리튬인산철(LFP) 배터리가 아닌 니켈·코발트·망간(NCM) 배터리였다. 그간 중국 업체들은 LFP 배터리를, 국내 업체들은 삼원계(NCM·NCA) 배터리를 주력으로 개발해왔다. 중국이 삼원계 배터리 생산을 시작한 것은 비교적 최근의 일이다.

 

삼원계 배터리는 LFP 배터리보다 주행거리가 길고 에너지 밀도가 높으며 가볍다는 장점이 있지만, 소재 특성상 화재 안전성을 확보하기가 어렵다. 이에 LG에너지솔루션, 삼성SDI, SK온 등 국내 배터리 3사는 불량률을 최소화하기 위해 매년 대규모 예산을 투입하며 기술 고도화에 힘쓰고 있다.

 

LG에너지솔루션은 인공지능(AI)과 빅데이터를 활용해 배터리 생애주기를 모니터링하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BMS) 서비스 'B-라이프케어'를 제공 중이다. SK온은 배터리 안전성 평가센터를 통해 안전성 검증 시험, 컴퓨터 단층촬영(CT) 분석, 배터리 해체 분석 등을 수행하고 있다. 삼성SDI는 안전성이 뛰어난 각형 배터리를 주력으로 채택하고 있으며, 고온 가스 발생 시 폭발 가능성을 최소화하는 벤트(Vent) 기술을 적용하고 있다.

 

그러나 배터리 실명제 도입에 따른 부작용을 우려하는 시각도 만만치 않다. 전기차 화재 원인은 복합적이지만, 배터리의 안전 문제만 부각되면 '배터리 불신론'이 확산될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K-배터리 비중이 높아지면 전기차 가격이 상승해 대중화가 지연될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된다.

 

이호근 대덕대 미래자동차학부 교수는 "소비자는 배터리가 아닌 완성차 업체의 브랜드 가치를 믿고 전기차를 구매하기 때문에, 화재 발생 시 제작사가 배터리사에 책임을 전가하는 관행은 개선해야 한다"며 "제도 정착과 함께 완성차업체의 자체적인 노력도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On Air
시사 TV 코리아

서울 / 인천·경기 / 강원 / 충남 / 충북 /
전남 / 전북 / 영남(본부) / 제주
뉴스HOT

TV 특집 프로그램

기획기사

‘가장 살기 좋은 도시’ 세종시의 굴욕 ‘가장 살기 좋은 도시’ 세종시의 굴욕 세종시의 상업 시설들이 줄줄이 폐업하고 있다. 정부세종청사 바로 앞에 위치한 4성급 B 호텔은 25일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