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은퇴하기 좋은 나라' 일본 제치고 아시아 1위..글쎄?
프랑스계 투자은행 나티시스 10일 발표..한국 세계 순위 20위 [양동익 기자 2024-09-11 오후 1:40:11 수요일] a01024100247@gmail.com
한국이 세계 은퇴하기 좋은 나라 순위에서 아시아 국가 중 1위를 기록했다. 건강과 삶의 질 종합 점수가 개선된 것이 주요 요인으로 작용했다. 전 세계적으로는 은퇴자들이 연금에 의존하지 않고 자금을 스스로 마련해야 한다는 인식이 확산되고 있다.
유투브 https://www.youtube.com/watch?v=WQDHzBotiSk
프랑스계 투자은행 나티시스가 10일(현지시간) 발표한 '세계 은퇴 지수(Global Retirement Index, GRI)'에 따르면, 한국은 지난해보다 한 계단 상승한 20위를 기록하며 아시아 국가 중 가장 높은 순위를 차지했다. 일본과 싱가포르는 각각 23위, 25위에 올랐으며, 중국은 38위에 그쳤다.
한국은 GRI 평가 세부 항목 중 건강(22위), 재정(5위), 삶의 질(37위), 물질적 행복(12위)에서 고르게 높은 점수를 기록했다. 특히 나티시스는 한국이 건강 지수에서 1인당 보건 지출과 기대 수명이 증가하며 순위가 크게 상승했다고 설명했다. 올해 한국의 건강 관련 지수는 지난해보다 두 계단 오른 22위를 기록했으며, 아시아 국가 중에서는 일본(6위)과 싱가포르(13위)와 함께 상위권에 속했다.
은퇴 후 재정 부문에서 한국은 5위를 기록했으나, 지난해보다 3계단 하락했다. 나티시스는 고령화로 인한 금융시스템의 노년층 의존도 확대와 높은 세금 압박 등이 하락의 주요 원인이라고 분석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국은 여전히 상위권을 유지하고 있다.
또한 한국의 물질적 행복감은 소득 불균형의 개선과 안정적인 실업률 덕분에 12위를 차지했다. 특히 실업률이 1위를 기록하며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나티시스는 "한국의 실업률이 2~3% 내외로 매우 낮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으며, 이는 여성과 한국인의 노동 시장 참여 증가와 의료, 숙박, 플랫폼 경제 등의 수요 증가에 기인한다"고 설명했다.
반면, 한국의 삶의 질 지수는 37위로 낮은 편이었으나, 지난해에 비해 2점 상승하며 한 계단 올랐다.
한편, 올해 GRI 전체 순위에서 스위스는 노르웨이를 제치고 1위를 차지했다. 아이슬란드와 아일랜드가 각각 3위와 4위를 기록했으며, 네덜란드, 룩셈부르크, 호주가 그 뒤를 이었다. 주요 선진국 중에서는 독일(8위), 미국(22위), 영국(14위), 프랑스(24위) 등이 상위권에 이름을 올렸다. 이번 GRI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을 포함한 44개국을 대상으로 산출되었다.
보고서에 따르면 은퇴자들은 전 세계적으로 은퇴자금을 스스로 마련해야 한다는 인식이 크게 확산되고 있다. 나티시스 설문 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20%는 100만 달러(약 13억 4,300만 원)를 저축하더라도 여전히 은퇴할 여유가 없다고 답했으며, 이 중 18%는 이미 100만 달러 이상의 자산을 보유한 사람들로 나타났다. 보고서는 인플레이션과 이자율 상승이 은퇴자들의 주요 우려 사항으로 지적되며, 연금 대신 스스로 자금을 마련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응답자의 비율이 2015년 67%에서 2023년 81%로 크게 증가했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시사TV코리아 (http://sisatvkorea.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서울 / 인천·경기 / 강원 / 충남 / 충북 / 전남 / 전북 / 영남(본부) / 제주 뉴스HOT
-
제주도 제주 근현대사 자료 공개 구입
제주특별자치도 민속자연사박물관은 오는 4월 28일까지 제주 근현대사를 엿볼 수 ..
-
제주도 신협 제주연수원 개원식 개최
제주특별자치도는 19일 제주투자진흥지구 내 신협 제주연수원에서 개원식을 개최했다..
-
제주도 도내 어촌 현장 릴레이 간담회..
제주특별자치도는 18일부터 4월까지 도내 7개 수협을 순회하며 어업인 의견을 수..
-
제주도 건강주치의 제도 구체적 운영 ..
제주도는 24일 오후 2시 제주웰컴센터에서 도민 공청회를 개최하고 오는 7월 시..
-
제주농업기술센터 'K- 디저트 스타트..
제주특별자치도 농업기술원 제주농업기술센터(소장 문선희)는 식품시장의 최신 트렌드..
-
2025년도 제주현대미술관 작품 수집..
제주특별자치도 제주현대미술관이 미술관 특화 컬렉션 구축과 동시대 현대미술 연구의..
-
제주도 수출기업 경쟁력 높이기 위한..
제주특별자치도가 글로벌 무역환경 변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수출기업의 경쟁력을 ..
-
제주도 한라산 백록담 재개방
제주특별자치도 한라산국립공원관리소는 지난 1월 27일부터 통제했던 한라산 백록담..
-
제주도 수출기업 경쟁력 향상 위한 종..
제주특별자치도가 글로벌 무역환경 변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수출기업의 경쟁력을 ..
-
제주도 창업 벤처기업 육성사업 참여기..
제주특별자치도는 창업을 활성화하고 벤처기업을 육성하기 위해 ‘창업·벤처기업 육성..
-
제주도 체험 편의시설 확충 장비 지원..
제주특별자치도가 농촌융복합산업 인증업체들의 체험·편의시설 확충과 장비 지원을 위..
-
제주도 한국어 교육 프로그램 운영
제주특별자치도는 영어교육도시 등 도내 거주 외국인의 한국어 소통 능력 향상과 지..
-
제주도 2025년 전기자전거 지원 대..
제주특별자치도는 2025년 전기자전거 구입 보조금 지원사업 대상자 200명을 전..
-
제주도 교육 프로그램 운영 지원사업 ..
제주특별자치도가 해양레저스포츠 저변 확대를 위한 교육 프로그램 운영 지원사업을 ..
-
제주도 올해 공무직 43명 신규 채용
제주특별자치도는 올해 공무직 43명을 신규 채용한다. 제주도는 7일 제..
TV 특집 프로그램
기획기사
‘가장 살기 좋은 도시’ 세종시의 굴욕 ‘가장 살기 좋은 도시’ 세종시의 굴욕 세종시의 상업 시설들이 줄줄이 폐업하고 있다. 정부세종청사 바로 앞에 위치한 4성급 B 호텔은 25일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