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관광객 등 외국인 '와우패스' 사용증가
와우패스 신규 발급 데이터에서는 중국이 전년 대비 433% [양동익 기자 2024-07-25 오전 9:43:30 목요일] a01024100247@gmail.com
올해 우리나라를 방문해 ‘와우패스(WOWPASS)’를 사용한 중국인 관광객 수가 크게 증가했다.
24일 오렌지스퀘어에 따르면, 올해 5월 기준 와우패스 활성카드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전년 동기 대비 전체 사용 규모가 135% 성장했다. 특히, 중국인 관광객의 규모는 523% 급증했다. 활성카드는 월 1회 이상 거래가 발생한 카드로, 한국에서 실제 와우패스를 이용한 사용자를 뜻한다.
중국 외에도 대만, 홍콩, 일본 관광객의 와우패스 사용도 증가했다. 대만은 157%, 홍콩은 152%, 일본은 100% 늘었다.
와우패스 신규 발급 데이터에서는 중국이 전년 대비 433%, 대만은 129%, 홍콩은 83% 증가해 중화권 성장세가 두드러졌다. 외국인 관광객의 사용 증가 원인은 방한 외국인 증가와 와우패스의 다양한 결제 수단 제공 덕분이다.
다양한 국가의 관광객도 와우패스를 많이 사용하고 있다. 올해 5월 기준, 기타 국가의 와우패스 사용 관광객은 전년 동기 대비 251% 증가했고, 신규 발급도 217% 성장했다. 미국, 러시아,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캐나다, 필리핀, 영국, 호주, 인도, 인도네시아, 독일 등이 상위권을 차지했다. 미국은 17%, 러시아는 16%, 말레이시아는 9%, 싱가포르는 8%의 비율을 보였다.
와우패스는 선불카드로 대한민국 어디서나 결제 가능하며, 앱을 통해 실시간 결제 내역을 확인할 수 있다. 무인 환전 키오스크를 통해 현금이나 신용카드로 발급 및 충전이 가능하다.
현재 190여 대의 무인 환전 키오스크가 운영 중이며, 2026년까지 500여 대로 확대할 계획이다. 와우패스는 교통카드로도 사용 가능해 외국인 관광객에게 유리하다.
와우패스 관계자는 “결제, 환전, 교통카드 기능을 결합해 시장을 선점했다”며 “외국인 관광객의 결제 니즈를 해결해 인바운드 관광산업 활성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시사TV코리아 (http://sisatvkorea.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서울 / 인천·경기 / 강원 / 충남 / 충북 / 전남 / 전북 / 영남(본부) / 제주 뉴스HOT
-
제주도 바이오산업 육성 종합계획 수립 제주특별자치도는 바이오산업을 신성장 동력으로 육성하기 위한 ‘제주특별자치도 바이..
-
제주도 2035 탄소중립 실현 등 올.. 제주특별자치도가 환경자산 보전과 2035 탄소중립 실현, 녹색산업 성장 기반 조..
-
제주도 2025년 국가유산에 총 35.. 제주특별자치도는 국가유산의 체계적 보존과 관광자원화를 위해 2025년에 총 35..
-
제주도-중국 전략적 교류협력 강화 방.. 제주특별자치도가 중국과의 전략적 협력을 강화해 제주-칭다오 항로 개설 등 경제통..
-
제주해양수산연구원 2025년 미래형 .. 제주특별자치도 해양수산연구원(원장 현재민)이 2025년 미래형 어업 플래폼 구축..
-
제주도 2025년 상반기 정기인사 임.. 제주특별자치도는 14일 오전 9시 도청 탐라홀에서 ‘2025년 상반기 정기인사 ..
-
제주도 2025년 어업기반 장비구축 .. 제주특별자치도는 2025년 어업기반 장비구축을 위한 지원사업 신청을 1월 9일부..
-
제주도 '제주 그린+푸드테크 생태계 .. 제주도는 10일 15시 제주썬호텔에서 사전포럼을 시작으로 ‘제주 그린+푸드테크 ..
-
탐라지리교육연구회, 제26회 전국지리.. 탐라지리교육연구회(회장 박윤경)에서는 제주특별자치도교육청(교육감 김광수), 전국..
-
제주도 청년 취업지원 회망프로젝트 시행 제주특별자치도는 5인 미만 중소기업에 인건비를 지원해 청년 정규직 채용을 장려하..
-
제주형 주민자치회 본격 실시 제주특별자치도는 주민 주도로 지역문제를 해결하는 ‘제주형 주민자치회’가 8개 읍..
-
2024 제4회 제주비엔날레 다양한 .. 2024 제4회 제주비엔날레(총감독 이종후)는 주요 참여작가 3팀과 함께 제주도..
-
제주도 농업기술원 '2025년 새해농.. 제주특별자치도 농업기술원(원장 고상환)은 2025년 을사년 새해를 맞아 7일부터..
-
제주도 2025년 제주콘텐츠기업지원센.. 제주특별자치도는 2025년을 제주 콘텐츠산업 도약의 원년으로 삼고 콘텐츠 인프라..
-
제주도 고향사랑기부제 지정기부금 사업.. 제주특별자치도는 2025년 1월 1일부터 고향사랑기부제 지정기부금 사업으로 오름..
TV 특집 프로그램
기획기사
‘가장 살기 좋은 도시’ 세종시의 굴욕 ‘가장 살기 좋은 도시’ 세종시의 굴욕 세종시의 상업 시설들이 줄줄이 폐업하고 있다. 정부세종청사 바로 앞에 위치한 4성급 B 호텔은 25일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