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관광객 등 외국인 '와우패스' 사용증가
와우패스 신규 발급 데이터에서는 중국이 전년 대비 433% [양동익 기자 2024-07-25 오전 9:43:30 목요일] a01024100247@gmail.com
올해 우리나라를 방문해 ‘와우패스(WOWPASS)’를 사용한 중국인 관광객 수가 크게 증가했다.
24일 오렌지스퀘어에 따르면, 올해 5월 기준 와우패스 활성카드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전년 동기 대비 전체 사용 규모가 135% 성장했다. 특히, 중국인 관광객의 규모는 523% 급증했다. 활성카드는 월 1회 이상 거래가 발생한 카드로, 한국에서 실제 와우패스를 이용한 사용자를 뜻한다.
중국 외에도 대만, 홍콩, 일본 관광객의 와우패스 사용도 증가했다. 대만은 157%, 홍콩은 152%, 일본은 100% 늘었다.
와우패스 신규 발급 데이터에서는 중국이 전년 대비 433%, 대만은 129%, 홍콩은 83% 증가해 중화권 성장세가 두드러졌다. 외국인 관광객의 사용 증가 원인은 방한 외국인 증가와 와우패스의 다양한 결제 수단 제공 덕분이다.
다양한 국가의 관광객도 와우패스를 많이 사용하고 있다. 올해 5월 기준, 기타 국가의 와우패스 사용 관광객은 전년 동기 대비 251% 증가했고, 신규 발급도 217% 성장했다. 미국, 러시아,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캐나다, 필리핀, 영국, 호주, 인도, 인도네시아, 독일 등이 상위권을 차지했다. 미국은 17%, 러시아는 16%, 말레이시아는 9%, 싱가포르는 8%의 비율을 보였다.

와우패스는 선불카드로 대한민국 어디서나 결제 가능하며, 앱을 통해 실시간 결제 내역을 확인할 수 있다. 무인 환전 키오스크를 통해 현금이나 신용카드로 발급 및 충전이 가능하다.
현재 190여 대의 무인 환전 키오스크가 운영 중이며, 2026년까지 500여 대로 확대할 계획이다. 와우패스는 교통카드로도 사용 가능해 외국인 관광객에게 유리하다.
와우패스 관계자는 “결제, 환전, 교통카드 기능을 결합해 시장을 선점했다”며 “외국인 관광객의 결제 니즈를 해결해 인바운드 관광산업 활성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시사TV코리아 (http://sisatvkorea.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서울 / 인천·경기 / 강원 / 충남 / 충북 / 전남 / 전북 / 영남(본부) / 제주 뉴스HOT
-
2025 생태계서비스지불제 성과평가 ..
제주특별자치도는 기후에너지환경부가 주관한 ‘2025년 생태계서비스지불제 성과평가..
-
국민의 힘 이정엽 제주도의회 의원, ..
국민의힘 이정엽 제주도의회 의원(대륜동)은 29일 서울 전경련회관 컨퍼런스센터에..
-
고민수 전 대기고 총동문회장, 제9회..
고민수 전 대기고등학교 총동문회장이 다음달 출판기념회를 열고 제9회 전국동시지방..
-
제주도-제주도교육청 협력안건에 합의
제주특별자치도(도지사 오영훈)와 제주특별자치도교육청(교육감 김광수)이 청소년 대..
-
제주도 싱가포르에서 2025 제주의 ..
제주특별자치도가 아세안 시장 공략을 위한 대규모 홍보 행사를 싱가포르에서 연다...
-
제주도, 2025년 정착주민을 위한 ..
제주특별자치도와 광역정신건강복지센터는 정착주민의 정신건강 증진과 자살예방 인식 ..
-
제주도 2025 제주 임산물 홍보대전..
제주특별자치도가 11월 1일 오전 10시부터 오후 4시까지 서귀포시 자구리문화예..
-
제주도 우주산업 클러스터 지정을 위한..
제주특별자치도가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에 위성정보 활용·실증 분야 우주산..
-
제주도 2025년 제6회 지방공무원 ..
제주특별자치도는 11월 1일 한라중학교에서 2025년 제6회 지방공무원 임용 필..
-
제주도 2026년 고품질 감귤 생산시..
제주특별자치도와 농협경제지주㈜ 제주본부, 감귤농업협동조합은 2026년 자유무역협..
-
제주도 2025년 정신건강박람회 개최
제주특별자치도는 제주특별자치도광역정신건강복지센터(센터장 정영은)와 함께 지난 2..
-
제주도 한라산 대청결 운동 전개
제주특별자치도 세계유산본부(본부장 고종석)는 가을 행락철을 맞아 28일 ‘한라산..
-
제주도 제주외항 2단계 잡화부두 개발..
제주특별자치도는 총사업비 632억원 규모의 제주외항 2단계 잡화부두 개발사업이 ..
-
2035 제주 탄소중립 협의체 24일..
대한민국 최초의 탄소중립 섬을 향한 ‘2035 제주 탄소중립 협의체’가 24일 ..
-
제주도 제32회 한일해협 연안 시도현..
제주에서 8년 만에 한국과 일본 8개 지역이 참여하는 수산 분야 국제 교류회의가..
TV 특집 프로그램
기획기사
‘가장 살기 좋은 도시’ 세종시의 굴욕 ‘가장 살기 좋은 도시’ 세종시의 굴욕 세종시의 상업 시설들이 줄줄이 폐업하고 있다. 정부세종청사 바로 앞에 위치한 4성급 B 호텔은 25일까지..













.jpeg)


본 사: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노연로 42, 802호(노형동, 정한오피스텔) Tel: 064-745-9933, Fax: 064-744-99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