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체제 . 졸리 권대정 경향
jdc cccc 티볼트 n 대한항공
홈- 뉴스 - 정치

제3차 제주메밀 산업 육성 기본계획 최종 확정

문화 관광 등과 연계한 제주메밀의 가치 확산 목표로 설정, 기후변화 대응 및 품질 경쟁력 향상, 통합브랜드 제고 및 가공 판매 다각화 등 [추현주 기자 2025-09-30 오후 5:38:34 화요일] wiz2024@empas.com

PRINT :    SCRAP :

▲제3차 제주메밀 산업 육성 기본계획 최종 확정

전국 1위 메밀 주산지인 제주가 향후 5년간 917억 원을 투입해 대한민국 메밀 산업의 중심지로 확고히 자리매김한다.

 

제주특별자치도는 26제주메밀 산업 육성 및 지원에 관한 조례에 따른 심의를 거쳐 3차 제주메밀 산업 육성 기본계획(2025~2029)’을 최종 확정했다고 밝혔다.

 

이번 계획은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신품종 개발부터 생산·가공·유통·관광을 아우르는 종합적인 발전 전략을 담고 있다.

 

전국 최대 메밀 주산지인 제주는 2023년 기준 재배면적 2,169ha로 전국(3,486ha)62.2%, 생산량은 1,703톤으로 전국(2,975)57.2%를 차지하며 압도적인 위상을 보유하고 있다.

 

메밀은 제주 농경의 신 자청비설화에 등장하는 오곡 중 하나로, 척박한 화산회토에서도 잘 자라며 빙떡 등 전통 음식의 재료로 활용돼 제주의 문화적 정체성을 담고 있다. 또한, ()제주메밀협의회와 메밀문화원, 지역 영농조합법인 등 제주 메밀 단체들과 행정의 노력으로 2015제주메밀 산업 육성 및 지원에 관한 조례제정, 통합 브랜드* 발굴, 농촌융복합산업 경진대회 등 수상**, 6차산업화 모델 구축등에 등 다양한 성과를 쌓아오고 있으며, 신협과의 업무협약(’25.6)을 통해 메밀산업 가치 확산을 위한 협력도 진행 중이다.

 

이번 기본계획은 문화·관광 등과 연계한 제주메밀의 가치 확산을 목표로 설정했다.

 

이를 위해 기후변화 대응 및 품질 경쟁력 향상 통합브랜드 제고 및 가공·판매 다각화 메밀문화가 있는 관광연계 활성화 구축 등 3대 전략과 9개 세부 전략과제를 추진한다.

 

투자 규모는 국비 50억 원, 지방비 565억 원, 자부담 302억 원 등 총 917억 원으로, 주요 세부 사업으로는 신품종 개발 및 보급 확대 계약재배 확대 및 조직체 육성 디지털 농작업 기계화 고부가가치 가공제품 개발 통합브랜드 활성화 및 온라인 판매 다각화 메밀꽃 축제 연계 체험·관광 구축 등이 포함됐다.

 

특히 농업기술원은 수량 25% 증가, 병해 저항성이 강화된 신품종 햇살미소를 개발해 농가 보급을 확대함으로써 기후변화 대응과 품질 경쟁력 향상을 도모한다.

 

김형은 제주도 농축산식품국장은 "이번 계획을 통해 제주메밀을 문화·관광과 연계한 핵심 산업으로 발전시키겠다, 제주메밀협의회·생산자 단체·농협·행정이 긴밀히 협력해 제주가 메밀의 본고장으로서 위상을 확고히 하고, 농가 소득 증대와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On Air
시사 TV 코리아

서울 / 인천·경기 / 강원 / 충남 / 충북 /
전남 / 전북 / 영남(본부) / 제주
뉴스HOT

TV 특집 프로그램

기획기사

‘가장 살기 좋은 도시’ 세종시의 굴욕 ‘가장 살기 좋은 도시’ 세종시의 굴욕 세종시의 상업 시설들이 줄줄이 폐업하고 있다. 정부세종청사 바로 앞에 위치한 4성급 B 호텔은 25일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