졸리 권대정 행정체제 경향 .
n jdc 티볼트 대한항공 cccc
홈- 뉴스 - 경제

제주사회적 기업 갈 길 잃어

적자만 늘어가 [권대정 기자 2014-09-26 오전 11:28:54 금요일] djk3545@empas.com

PRINT :    SCRAP :

 

도내 경영 공시 참여기업 대부분 영업이익 못내
영세기업에 경영컨설팅·지원 등 더욱 강화 절실

   취약계층 일자리 창출·지역서비스 제공에 한계

제주지역의 사회적 기업이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으나 영업활동을 통한 수익을 얻지못한 채 운영되고 있다. 이에 따라 지속가능한 기업으로 성장해 취약계층에 대한 취업 확대 등 사회적기업으로서의 취지 달성을 위해서는 기업실정에 맞는 경영컨설팅 등의 지원강화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의 자료에 따르면 2013년 11월 현재 제주지역에는 총 24개의 기업이 사회적 기업으로 인증·설립되어 운영되고 있다.

현재 '사회적기업 육성법'에는 사회적기업을 취약계층에게 사회서비스 또는 일자리를 제공하여 지역주민의 삶의 질을 높이는 등의 사회적 목적을 추구하면서 재화 및 서비스의 생산·판매 등 영업활동을 하는 기업으로 정의하고 있다.

사회적기업의 형태는 일자리제공형, 사회서비스제공형, 지역사회공헌형, 혼합형 등으로 구분되는데 각 형태에 따라 해당 기업들은 전체 직원의 일정비율에 대해 취약계층 근로자를 채용해야 하거나 사회적서비스를 제공하는 등의 요건을 채워야 사회적기업으로 인증받을 수 있다. 사회적기업 인증기업이 생산하는 재화나 서비스는 공공기관에서 우선 구매토록 제도화되어 있다.

하지만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이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소속 새누리당 주영순 국회의원에게 제출한 '2013년 사회적 기업 경영공시 현황'에 따르면 경영공시에 참여한 전국의 81개 기업중 흑자인 곳은 18개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제주지역의 사회적 기업 중 경영공시에 참여한 기업들 대부분이 영업활동을 통한 적자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고 제주지역의 일자리제공형 기업인 A법인인 경우는 영업이익률이 -137.5%를 기록한 것으로 공시됐다.

이와관련 주영순 의원은 "사회적기업에 대한 일괄적인 지원이 아닌 사회적 기업의 여건에 맞는 실질적인 지원을 행정기관 등이 고려해야 할 것"이라며 "사회적 기업들이 영업이익을 내며 지속적으로 성장해 나갈 때 취약계층의 일자리 창출 등이 확대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제주지역 사회적 기업의 한 관계자는 "경영지원 컨설팅 등이 이뤄지고는 있지만 창업 등 경영에 대한 경험 부족 등으로 인해 경영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취약계층 취업 확대나 지역서비스 제공 등의 활동을 지속적으로 진행하기 위해서는 영세한 사회적 기업들인 경우 경영 컨설팅과 지원이 더 필요한 것 같다"고 말했다.

 

 

On Air
시사 TV 코리아

서울 / 인천·경기 / 강원 / 충남 / 충북 /
전남 / 전북 / 영남(본부) / 제주
뉴스HOT

TV 특집 프로그램

기획기사

‘가장 살기 좋은 도시’ 세종시의 굴욕 ‘가장 살기 좋은 도시’ 세종시의 굴욕 세종시의 상업 시설들이 줄줄이 폐업하고 있다. 정부세종청사 바로 앞에 위치한 4성급 B 호텔은 25일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