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대통령, 국방비 증액하겠다 밝혀
트럼프 대통령과 한미정상회담에서 먼저 적극적 거론, 변화하는 우리 주변 정세에 잘 대응할 수 있게 현대화해 연합방위능력 강화 [추현주 기자 2025-08-26 오후 3:49:03 화요일] wiz2024@empas.com
이재명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한미정상회담을 계기로 우리 정부가 트럼프 2기 행정부의 꾸준한 요구였던 국방비 인상 계획을 공식화했다.
이 대통령은 한미 정상회담 직후인 25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의 싱크탱크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에서 한 연설에서 "한국은 한반도 안보를 지키는 데 있어 보다 주도적인 역할을 앞으로 해 나갈 것"이라며 "국방비를 증액하겠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 위성락 국가안보실장은 이날 현지에서 가진 '3실장 공동 브리핑'에서 국방비 증액은 이 대통령이 먼저 적극적으로 거론한 것이라고 강조했다.
위 실장은 국방비 증액이 "우리가 보는 동맹 현대화의 방향"이라면서 "변화하는 우리 주변 정세에 잘 대응할 수 있게 동맹을 현대화해 결과적으로 연합방위능력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목표를 갖고 진행하고 있다"고 말했다.
우리 입장에서도 연합방위체제 주도를 위한 북한 핵·미사일 위협 대응과 전시작전통제권 전환 역량 확보 측면에서 국방비 투자는 필요하다는 취지로 풀이된다. 이 대통령은 증액된 국방비가 스마트 강군 육성 등에 사용될 것이라고 언급하기도 했다.
위 실장은 큰 틀에서 동맹 현대화에 대한 공감대와 진전이 있었다고 밝혔지만, 국방비 증액 외 동맹 현대화 중 주요 이슈인 주한미군의 전략적 유연성 확대와 방위비 분담금 확대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언급하지 않았다.
트럼프 행정부는 중국·러시아의 위협에 공동 대응하기 위해 그동안 대북 확장 억제에 초점을 맞춰온 주한미군 역할을 조정하는 방향의 전략적 유연성을 요구해왔다.
그러나 이 대통령이 회담을 앞두고 전용기에서 "유연화에 대한 (미국 측) 요구가 있는 건 사실이지만 우리 입장에서는 쉽게 동의하기 어려운 문제"라고 언급했던 것으로 미뤄볼 때 문구에 대한 합의가 이뤄지지 않았을 가능성이 있다.
전략성 유연성은 한반도 이외 분쟁에 주한미군을 투입할 수 있다는 개념이다. 예컨대 대만해협 유사시에 주한미군이 투입되는 상황은 우리 측으로선 중국과의 관계를 고려할 때 부담스러울 수밖에 없다.
이번 회담에서 주요 의제로 거론됐던 주한미군 방위비 분담금 조정 문제는 논의되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한편,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회담에서 "한국은 우리 군사 장비의 큰 구매국가"라며 미국산 무기 구매를 적극적으로 요구했다.
특히 최근 이란-이스라엘 분쟁시 미국 본토에서 출격해 이란 핵시설을 폭격했던 B-2 스텔스 폭격기를 언급하면서 "한국이 이렇게 뛰어난 (미국산) 군사장비를 구매할 것을 기대한다"고 했다.
미국산 무기 도입 비용은 우리나라 국방비 중 방위력개선비의 상당 부분을 이미 차지하고 있는데, 국방비를 늘리면서 미국산 무기 도입 규모가 더 커질 가능성도 있다.
현재 군은 차기 전투기(F-X) 2차 사업으로 미국산 스텔스 전투기 F-35A 20대를 추가 도입해 2027년부터 전력화할 예정이며, F-15K 및 KF-16 전투기 성능개량 사업 등 조 단위 구매계약을 체결해왔다.
위 실장은 "미국산 무기 구매는 꼭 필요한 첨단이나 중요한 무기를 구매하려 하는 것이라 '미팅 오브 마인드'(의견일치)가 있었다"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시사TV코리아 (http://sisatvkorea.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서울 / 인천·경기 / 강원 / 충남 / 충북 / 전남 / 전북 / 영남(본부) / 제주 뉴스HOT
-
제주도 2025년 스마트농업 현장적용..
제주특별자치도 농업기술원 제주농업기술센터(소장 문선희)는 농업인의 스마트농업 실..
-
제주도 공공배달앱 먹깨비 쿠폰지원
제주특별자치도가 폭발적인 인기로 예산이 조기 소진됐던 공공배달앱 ‘먹깨비’의 배..
-
제주 도내 관광개발 현안토론 진행
제주특별자치도가 9월 3일 도청 본관 회의실에서 도내 대규모 관광개발사업자들과 ..
-
제주도 제주흑우 고부가가치 명품 브랜..
제주특별자치도는 제주흑우를 고부가가치 지역 명품 브랜드로 육성하기 위해 25일 ..
-
제주도 도심항공교통 상용화 본격 추진
제주특별자치도가 국토교통부 주관 ‘도심항공교통(UAM) 지역시범사업 지원 공모’..
-
제주도 지역 국회의원들과 당정협의회 ..
제주특별자치도는 25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지역 국회의원들과 당정협의회를 열고 내..
-
제주 크리에이터 집중 육성 본격 지원
제주특별자치도가 ‘제주 크리에이터’를 집중적으로 육성하는 「크리에이터 경제 육성..
-
제주도 워런케이션 워킹그룹 출범
제주특별자치도가 휴가지 원격근무(워케이션)과 배움여행(런케이션) 사업을 체계적으..
-
제주도, 가수 원미연씨 홍보대사 위촉
제주특별자치도는 가수 겸 배우 원미연 씨를 제주도 홍보대사로 위촉했다. ..
-
제주도-전국금융산업노동조합, 주 4...
제주도와 전국금융산업노동조합(위원장 김형선)은 22일 도청 삼다홀에서 주 4.5..
-
제주도 농업기술원 AI와 3D 입체모..
제주특별자치도 농업기술원(원장 고상환)은 감귤 생산량 예측 방식을 기존 인력 중..
-
제주도 2025년 청년문화예술패스 2..
제주특별자치도가 2006년생 청년을 대상으로 ‘2025년 청년문화예술패스’ 2차..
-
제주도 핵심 현안 국정과세 반영
제주특별자치도의 핵심 현안들이 정부 ?국정운영 5개년 계획?에 대거 반영됐다. ..
-
제주도 '해외 바이어 초청 수출간담회..
제주특별자치도는 오는 9월 4일 메종글래드 제주에서 제주경제통상진흥원, 제주국제..
-
제주도 도내 공공도서관 독서 프로그램..
제주특별자치도가 9월 ‘독서의 달’을 맞아 ‘읽기예보: 오늘 읽음, 내일 맑음’..
TV 특집 프로그램
기획기사
‘가장 살기 좋은 도시’ 세종시의 굴욕 ‘가장 살기 좋은 도시’ 세종시의 굴욕 세종시의 상업 시설들이 줄줄이 폐업하고 있다. 정부세종청사 바로 앞에 위치한 4성급 B 호텔은 25일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