죽은 고래상어 뱃속에서 다량의쓰레기
해양오염 심각 정도 [권대정 기자 2018-09-05 오후 8:55:41 수요일] djk3545@empas.com
필리핀 해안에서 죽은 채 발견된 고래상어 새끼가 플라스틱 쓰레기를 다량 섭취한 것으로 확인돼 충격을 주고 있다.
영국 더선은 지난달 7일 필리핀 남부 민다나오섬 다바오델노르테 주 타굼 해안에서 약 4.26m(14피트) 길이의 고래상어 새끼가 죽은 채 발견됐다고 4일(현지시각) 전했다. 다 크면 길이가 평균 12~18m에 달하는 고래상어는 거대한 몸집과는 달리 성질이 온순하다.
보도에 따르면 고래상어를 부검한 해양생물학자 대럴 블랫츨리는 자신의 페이스북를 통해 죽은 고래상어 새끼 사진을 다수 게재했다.
고래상어 새끼의 위엔 플라스틱 컵, 동전, 가방 등이 있었다. ‘필리핀 제품’이라고 적힌 포장재도 발견됐다. 고래상어는 주로 갑각류·오징어·플랑크톤 등 작은 물고기를 물과 함께 들이마셨다가 여과해서 먹는다.
그는 페이스북에 “지난 9년 간 나는 60마리의 고래·돌고래의 부검을 했다. 수많은 거북이·상어의 부검도 했다”면서 “부검 결과의 공통점은 모두 사람이 죽음을 초래했다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낚시와 플라스틱 폐기물로 인한 죽음. 아무 것도 변하지 않았다”면서 “(환경문제를 다룬) 게시물이 공유되고 당신은 슬픈 얼굴을 하게 되지만 쓰레기는 여전히 버려진다”고 꼬집었다.
사진=대럴 블랫츨리 페이스북 캡처
롤런드 기어 미국 샌타바버라 캘리포니아대 교수팀이 지난해 7월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어드밴시스’에 게재한 연구 결과에 따르면 전 세계에서 한 해 동안 배출되는 플라스틱 쓰레기는 약 630만t(2015년 기준)이다.
이렇게 버려진 플라스틱 쓰레기 중 9%만이 재활용되고, 12%는 소각 처리된다. 나머지 79%는 그대로 버려지는 것.
기어 교수는 “플라스틱 쓰레기 중 35%는 포장재”라며 “포장재의 수명은 길어야 3일이다. 사용 직후 바로 쓰레기가 되는 셈”이라고 지적했다.
문제는 플라스틱을 소비하는 속도에 비해 플라스틱의 분해 속도가 무척이나 느리다는 것이다. 전문가들은 플라스틱 문제를 해결할 가장 확실한 해법은 덜 쓰고 덜 버리는 것이라고 입을 모은다.
주요기사靑 “특사단, 김정은 만나 文대통령 친서 전달”
평양간 대북 특사단 ‘만찬’ 의미는? 일단 “긍정 시그널”
?
<저작권자 ⓒ 시사TV코리아 (http://sisatvkorea.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서울 / 인천·경기 / 강원 / 충남 / 충북 / 전남 / 전북 / 영남(본부) / 제주 뉴스HOT
-
제주도 기업 ESG 경영 연계 제주형..
제주특별자치도는 환경·사회·지배구조(ESG) 경영 확산으로 기업의 자연보전 역할..
-
제주도 새정부경제정책추진단 조직개편안..
제주특별자치도가 새정부 경제정책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새정부경제정책추진단..
-
제주도 2025년 상반기 제주특별자치..
제주도는 9일 오후 3시 도청 한라홀에서 열린 ‘2025년 상반기 제주특별자치도..
-
제주도 올해 버스정보시스템 보강구축
제주특별자치도가 올해 버스정보시스템 보강구축사업을 통해 버스정보안내기(BIT) ..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정원 세계적 정원도..
제주특별자치도가 도민 일상 속 정원문화 확산과 세계적 정원도시 도약을 위해 본격..
-
2025년 제주청년대상 수상후보자 모집
제주특별자치도는 지역사회의 발전을 이끌어가는 창의적이고 능동적인 청년들의 역량을..
-
제주도 전국 최초 큐알 결제 시스템 ..
제주특별자치도는 제주를 찾는 내외국인 관광객과 도민들의 택시 이용 편의 향상을 ..
-
제주도 5월 연휴 약 26만명 관광객..
제주특별자치도가 5월 연휴 기간 당초 예상보다 2.3% 많은 약 26만 명의 관..
-
제주세계유산본부 관광지 및 주요 도로..
제주특별자치도 세계유산본부(본부장 고종석)는 기후변화로 증가하는 외래 및 돌발병..
-
2025년 제주교육발전특구 특별교부금..
2025년 교육발전특구 특별교부금은 지난 2월 66억 원(도 27억, 교육청 3..
-
제주도 제13대 제주연구원장 유영봉 ..
제주특별자치도는 2일 도지사 집무실에서 제13대 제주연구원장에 유영봉 전 제주대..
-
제주도 5개 지정기부금 사업에 대한 ..
제주특별자치도는 5월 7일부터 곶자왈 보전과 청년 유입 확대 등 도민 체감도가 ..
-
제주도 연휴기간동안 25만2000명 ..
제주특별자치도는 1일부터 6일까지 연휴 기간 동안 25만 2,000명의 관광객이..
-
제주 워케이션 프로젝트형 바우처 지원..
제주특별자치도가 민간 역량 중심의 차별화된 워케이션 모델 발굴을 위해 ‘제주 워..
-
제주도 2025년 상반기 전기이륜차 ..
제주특별자치도가 친환경 이동수단 보급 확대를 위한 2025년 상반기 전기이륜차 ..
TV 특집 프로그램
기획기사
‘가장 살기 좋은 도시’ 세종시의 굴욕 ‘가장 살기 좋은 도시’ 세종시의 굴욕 세종시의 상업 시설들이 줄줄이 폐업하고 있다. 정부세종청사 바로 앞에 위치한 4성급 B 호텔은 25일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