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 . 행정체제 졸리 권대정
n 티볼트 jdc cccc 대한항공
홈- 뉴스 - 사회

서울시, 전국 최초 플라스틱프리도시 도전

2022년까지 서울시내 전체 사용량의 50%감축과 재활용률 70%달성이 목표 [추현주 기자 2018-09-19 오후 2:27:52 수요일] wiz2024@empas.com

PRINT :    SCRAP :

▲최근 일회용컵 사용실태 (사진제공=기후환경본부 자원순환과)

서울시가 전국 최초로 종합계획을 마련해 1회용 플라스틱 없는 서울에 도전한다.

 

기본 방향은 '안 만들고(생산), 안 주고(유통), 안 쓰는(소비) 문화를 정착 시키고, 불가피하게 사용하는 1회용 플라스틱은 재활용을 극대화한다는 것이다. 2022년까지 서울시내 전체 사용량의 50% 감축과 재활용률 70% 달성이 목표이다.

 

1회용 컵, 비닐봉투를 중심으로 올해 시· 자치구· 산하기관이 1회용품 제로를 실천한데 이어 2019년에 민간위탁기관, 20년 이후 민간사업장까지 확대한다. 공원, 한강, 장터, 축제 등 시 구 주관의 공공행사나 공공장소의 1회용품 사용 억제도 실천한다.  

 

시민단체 주도로 5대 1회용품(컵·빨대·비닐봉투·배달용품·세탁비닐) 안쓰기 실천운동을 전개한다. 캠페인과 호텔, 영화관, 프랜차이즈 등 다소비업종을 중심으로 한 '서울형 자율실천협약 체결' 확산을 병행하는 내용이다.

 

서울시는 이와 같은 내용의 5대분야 38개 과제의 1회용 플라스틱 없는 서울 종합계획을 추진한다. 5대분야는 공공부문 1회용품 사용 제로 선도, 시민실천운동 전개 및 홍보 강화, 1회용 플라스틱 안주고 안쓰는 유통구조 확립, 사용된 1회용 플라스틱 재활용 극대화, 제도개선 및 재정지원 확대이다.

 

황보연 서울시 기후환경본부장은 "그동안 우리가 무심히 사용해왔던 1회용 플라스틱이 땅과 바다를 오염시켜 우리의 건강과 생명을 위협하고 있다"며 "1회용 플라스틱을 줄이기는 누구 하나만의 노력으로 가능한 일이 아니며, 공공 및 민간, 업체 등 모든 주체들의 공동노력과 협력이 절실히 필요하며 1회용 플라스틱 없는 서울 만들기에 시민 여러분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바란다"고 밝혔다.

 

On Air
시사 TV 코리아

서울 / 인천·경기 / 강원 / 충남 / 충북 /
전남 / 전북 / 영남(본부) / 제주
뉴스HOT

TV 특집 프로그램

기획기사

‘가장 살기 좋은 도시’ 세종시의 굴욕 ‘가장 살기 좋은 도시’ 세종시의 굴욕 세종시의 상업 시설들이 줄줄이 폐업하고 있다. 정부세종청사 바로 앞에 위치한 4성급 B 호텔은 25일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