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단 비상대책위원장, 전공의협의회가 요구하는 안 정부수용하면 돌아갈 의향 있어
대한전공의협의회 긴급 임시대의원 총회 열어 의대 증원 계획 전면 백지화 등 7가지 안 정부 요구 [추현주 기자 2024-02-22 오후 3:39:42 목요일] wiz2024@empas.com
박단 대한전공의협의회 비상대책위원장은 전공의협의회가 요구하는 안을 정부가 어느 정도 수용하면 병원에 돌아갈 의향이 있다고 밝혔다.
박단 비대위원장은 오늘(22일) CBS 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 출연해 "저희가 요구하는 안들에 대해 어느 정도 정부가 수용을 한다면 저희는 언제든지 병원에 돌아갈 의향들이 다 있다"며 "정부가 오히려 빨리 결정을 내려서 이 문제를 해결하는 게 필요하다"고 말했다.
대전협은 지난 20일 긴급 임시대의원 총회를 열고 의대 증원 계획 전면 백지화, 과학적인 의사수급 추계 위한 기구 설치, 수련병원 전문의 인력 채용 확대 등 7가지 안을 정부에 요구했다.
박 위원장은 정부가 전공의들에게 업무개시 명령 등을 내리고 있는 것과 관련해서는 "정부의 강압적인 탄압들 때문에 대화의 여지들이 많이 없는 것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박 위원장은 이어 "(정부가) 갑자기 정책들을 발표했고 이걸 따르지 않으니까 다른 해결 방법, 목소리를 낼 수 있는 방법은 전혀 없다 보니까 대부분의 전공의들이 누군가 지금 주도하거나 이런 상황이 전혀 아니다"면서 "하나하나에 분노하고 좌절하고 이렇게는 못하겠다라고 해서 병원을 다 뛰쳐나오고 있는 상황"이라고 밝혔다.
2천 명 의대 증원에 대해서는 "숫자에 대한 근거가 납득이 안 된다"면서 "전공의들이 싼 인력이고 근로시간이 주 80시간 이상 넘어가다 보니까 이런 사람들을 늘려서 병원을 더 싸게 운영하려고 하는 것은 아닌가 우려가 있다"고 설명했다.
또, "2천 명 이런 숫자에 대해서 의료현안협의체에서 논의한 적이 없다"면서 "정부가 갑자기 2천 명을 협의할 수 없고 너네는 그냥 따라와야 된다는 스탠스(자세)를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저희는 아무리 목소리를 내도 정부가 듣고 있지 않다라고 판단을 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필수의료 대책에 대해서는 "필수의료 분야의 전공의 지원이 대체적으로 왜 미달인가를 먼저 생각해봐야 된다"면서 "수가 문제, 근로 환경에 대한 문제들을 먼저 해결하지 않으면 의사 수를 단순히 늘린다고만 해서 인턴, 의대생들이 필수의료 영역을 선택할 것인가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박 위원장은 또 "2월 1일 나온 필수의료 정책 패키지에는 논의하지 않았던 내용들도 갑자기 담긴 것들이 많았는데 구체적인 내용이 없고 재정에 대한 내용들이 거의 없다"고 비판했다.
<저작권자 ⓒ 시사TV코리아 (http://sisatvkorea.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서울 / 인천·경기 / 강원 / 충남 / 충북 / 전남 / 전북 / 영남(본부) / 제주 뉴스HOT
-
2025년 제주청년대상 수상후보자 모집
제주특별자치도는 지역사회의 발전을 이끌어가는 창의적이고 능동적인 청년들의 역량을..
-
제주도 전국 최초 큐알 결제 시스템 ..
제주특별자치도는 제주를 찾는 내외국인 관광객과 도민들의 택시 이용 편의 향상을 ..
-
제주도 5월 연휴 약 26만명 관광객..
제주특별자치도가 5월 연휴 기간 당초 예상보다 2.3% 많은 약 26만 명의 관..
-
제주세계유산본부 관광지 및 주요 도로..
제주특별자치도 세계유산본부(본부장 고종석)는 기후변화로 증가하는 외래 및 돌발병..
-
2025년 제주교육발전특구 특별교부금..
2025년 교육발전특구 특별교부금은 지난 2월 66억 원(도 27억, 교육청 3..
-
제주도 제13대 제주연구원장 유영봉 ..
제주특별자치도는 2일 도지사 집무실에서 제13대 제주연구원장에 유영봉 전 제주대..
-
제주도 5개 지정기부금 사업에 대한 ..
제주특별자치도는 5월 7일부터 곶자왈 보전과 청년 유입 확대 등 도민 체감도가 ..
-
제주도 연휴기간동안 25만2000명 ..
제주특별자치도는 1일부터 6일까지 연휴 기간 동안 25만 2,000명의 관광객이..
-
제주 워케이션 프로젝트형 바우처 지원..
제주특별자치도가 민간 역량 중심의 차별화된 워케이션 모델 발굴을 위해 ‘제주 워..
-
제주도 2025년 상반기 전기이륜차 ..
제주특별자치도가 친환경 이동수단 보급 확대를 위한 2025년 상반기 전기이륜차 ..
-
제주한라산국립공원관리소 특별 체험프로..
제주특별자치도 한라산국립공원관리소(소장 홍원석)가 5월 5일 어린이날을 맞아 스..
-
제주도 2025년 통합복지기금 청소년..
제주특별자치도는 2025년 통합복지기금 청소년육성계정 장학금 지원계획을 공고하고..
-
제주해녀어업 세계중요농어업유산 지정 ..
제주특별자치도가 유네스코에 이어 세계식량농업기구(FAO) 세계중요농어업유산으로 ..
-
제주도 싱가포르와 아세안 시장 진출 ..
제주특별자치도는 싱가포르 제주사무소가 2025년 다양한 사업을 통해 도내 수출기..
-
제주도 2025년산 하우스감귤 첫 출하
제주특별자치도 농업기술원 서귀포농업기술센터(소장 양창희)는 28일 서귀포시 남원..
TV 특집 프로그램
기획기사
‘가장 살기 좋은 도시’ 세종시의 굴욕 ‘가장 살기 좋은 도시’ 세종시의 굴욕 세종시의 상업 시설들이 줄줄이 폐업하고 있다. 정부세종청사 바로 앞에 위치한 4성급 B 호텔은 25일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