냄새 적은 한국남자 유전적 이유있다
한국인 겨드랑이 냄새 세계에서 가장 적다는 연구 결과 나와 [양동익 기자 2024-09-15 오전 8:19:40 일요일] a01024100247@gmail.com
백인과 흑인이 상대적으로 체취가 강하고 동양인은 체취가 적다는 사실은 널리 알려져 있다. 특히 동아시아인인 한국인, 중국인, 일본인 중에서도 차이가 존재하는데, 그중 한국인은 겨드랑이 냄새가 세계에서 가장 적다는 연구 결과가 나와 관심을 끌고 있다.
유투브 https://www.youtube.com/watch?v=vnG2_pJjeZU
한국인이 비교적 체취가 적은 이유는 과학적 연구에서도 확인됐다. 겨드랑이에서 나는 특유의 냄새, 즉 '암내'는 아포크린(Apocrine) 땀샘에서 분비되는 화학물질이 불포화 지방산과 박테리아에 의해 발생하는데, 한국인은 이 아포크린샘의 분비를 활성화하는 G유전자를 가진 비율이 매우 낮기 때문이다.
영국 브리스톨대 연구팀에 따르면, G유전자를 가진 사람은 체취가 많고, A유전자를 가진 사람은 체취가 적다. G유전자는 아프리카와 유럽인에게 주로 나타나는 반면, A유전자는 동아시아인에게 많다. 한국에서 G유전자를 가진 사람의 비율은 단 2%로, 전 세계에서 가장 낮은 수치다. G유전자의 특징 중 하나는 축축한 귀지인데, 한국인 대부분은 건조한 귀지를 가지고 있다.
2013년 일본 연구팀은 ‘Frontiers Research Foundation’ 저널에 발표된 논문에서 한국인이 겨드랑이 냄새를 일으키는 ABCC11 유전자형 중 A형 유전자를 보유한 비율이 가장 높다고 밝혔다. A형 유전자는 아포크린 땀샘의 분비를 줄여 체취를 적게 만든다.
반면, 백인이나 흑인은 상대적으로 체취가 강하며, 동양인 중에서도 한국인은 그 비율이 가장 낮다. 한국인의 체취가 적다는 사실은 경험적, 과학적으로 증명된 셈이다.
최근 한 일본 프리랜서 아나운서가 남성들의 체취에 대해 비판적인 발언을 하며 논란이 일었다. 아나운서 가와구치 유리는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여름철 남성의 냄새가 불쾌하다는 글을 올렸다가 성차별적 발언이라는 비판을 받으며 사과하고 직장에서 해고됐다.
이 발언은 일본 사회뿐 아니라 한국 트위터 등에서도 '아저씨 냄새' 논란을 불러일으켰다. 특히 여름철 불쾌지수가 높아지면서 체취 문제는 대중교통, 직장 등 밀폐된 공간에서 더욱 민감한 주제가 되고 있다.
전문가들은 '아저씨 냄새'의 주요 원인 물질로 노네날(nonenal)을 꼽는다. 노네날은 40대 이상 남성에게 주로 발생하는 지방산으로, 신진대사가 둔화되면서 완전히 연소되지 않은 피지에서 발생한다. 노네날이 분비되면 악취가 발생하며, 특히 남성들에게서 강하게 나타난다.
노네날은 일반 비누나 세정제로는 쉽게 제거되지 않는다. 일본에서는 노네날 제거용 웻티슈까지 출시될 정도로 냄새 문제에 민감하다. 실제로 아저씨 냄새의 실체를 처음 밝혀낸 기업도 일본의 화장품 회사 시세이도다.
일본에서는 냄새(Smell)와 괴롭힘(Harassment)을 결합한 '스메하라(Smehara)'라는 표현이 10년 전부터 사용되고 있다. 일본 사회는 냄새가 심할 경우 인사평가에 영향을 미칠 정도로 냄새에 민감하다. 한 회사에서는 출근 시 구취 검사기를 도입해 사원들의 구취를 점검하기도 한다.
냄새는 단순한 개인 위생 문제가 아닌 사회적 문제로까지 확대되고 있으며, 이러한 경향은 한국과 일본에서 특히 두드러지고 있다.
덥고 습한 날씨에 체취 문제로 시끄러운 여름이지만, 사실 한국인은 세계에서 가장 체취가 적은 민족이다. 암내를 유발하는 아포크린 땀샘 분비가 적고, 체취에 영향을 미치는 G유전자를 가진 인구 비율이 전 세계에서 가장 낮기 때문이다.
2013년 일본 연구팀의 연구에서도 한국인은 체취를 줄여주는 A형 유전자를 보유한 비율이 가장 높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한국인의 체취가 적다는 사실은 과학적으로 입증된 사실이다.
<저작권자 ⓒ 시사TV코리아 (http://sisatvkorea.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서울 / 인천·경기 / 강원 / 충남 / 충북 / 전남 / 전북 / 영남(본부) / 제주 뉴스HOT
-
제주도 전국 최초 큐알 결제 시스템 ..
제주특별자치도는 제주를 찾는 내외국인 관광객과 도민들의 택시 이용 편의 향상을 ..
-
제주도 5월 연휴 약 26만명 관광객..
제주특별자치도가 5월 연휴 기간 당초 예상보다 2.3% 많은 약 26만 명의 관..
-
제주세계유산본부 관광지 및 주요 도로..
제주특별자치도 세계유산본부(본부장 고종석)는 기후변화로 증가하는 외래 및 돌발병..
-
2025년 제주교육발전특구 특별교부금..
2025년 교육발전특구 특별교부금은 지난 2월 66억 원(도 27억, 교육청 3..
-
제주도 제13대 제주연구원장 유영봉 ..
제주특별자치도는 2일 도지사 집무실에서 제13대 제주연구원장에 유영봉 전 제주대..
-
제주도 5개 지정기부금 사업에 대한 ..
제주특별자치도는 5월 7일부터 곶자왈 보전과 청년 유입 확대 등 도민 체감도가 ..
-
제주도 연휴기간동안 25만2000명 ..
제주특별자치도는 1일부터 6일까지 연휴 기간 동안 25만 2,000명의 관광객이..
-
제주 워케이션 프로젝트형 바우처 지원..
제주특별자치도가 민간 역량 중심의 차별화된 워케이션 모델 발굴을 위해 ‘제주 워..
-
제주도 2025년 상반기 전기이륜차 ..
제주특별자치도가 친환경 이동수단 보급 확대를 위한 2025년 상반기 전기이륜차 ..
-
제주한라산국립공원관리소 특별 체험프로..
제주특별자치도 한라산국립공원관리소(소장 홍원석)가 5월 5일 어린이날을 맞아 스..
-
제주도 2025년 통합복지기금 청소년..
제주특별자치도는 2025년 통합복지기금 청소년육성계정 장학금 지원계획을 공고하고..
-
제주해녀어업 세계중요농어업유산 지정 ..
제주특별자치도가 유네스코에 이어 세계식량농업기구(FAO) 세계중요농어업유산으로 ..
-
제주도 싱가포르와 아세안 시장 진출 ..
제주특별자치도는 싱가포르 제주사무소가 2025년 다양한 사업을 통해 도내 수출기..
-
제주도 2025년산 하우스감귤 첫 출하
제주특별자치도 농업기술원 서귀포농업기술센터(소장 양창희)는 28일 서귀포시 남원..
-
제주현대미술관 전시와 특별행사 개최
제주특별자치도 제주현대미술관이 어린이날을 맞아《페이지를 건너다: 이수지의 그림책..
TV 특집 프로그램
기획기사
‘가장 살기 좋은 도시’ 세종시의 굴욕 ‘가장 살기 좋은 도시’ 세종시의 굴욕 세종시의 상업 시설들이 줄줄이 폐업하고 있다. 정부세종청사 바로 앞에 위치한 4성급 B 호텔은 25일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