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창일, 외국인 토지 매입 제한
여의도 면적의 8배를 외국인이 소유 [권대정 기자 2016-10-24 오후 1:09:35 월요일] djk3545@empas.com
국회 강창일 의원(더불어민주당·제주시 갑)은 21일 외국인이 제주도에서 일정 규모 이상의 토지에 대한 소유권 등 권리를 얻고자 할 경우 도지사의 허가를 받도록 하는 내용의 '제주특별자치도 설치 및 국제자유도시 조성을 위한 특별법 일부개정법률안'(제주특별법)을 대표발의 했다고 밝혔다.
강 의원의 제주특별법 개정안은 외국인이 제주도에서 일정한 규모 이상의 토지에 대한 소유권 등 권리를 얻기 위해 계약을 하고자 하는 경우 도지사의 허가를 받도록 하고, 용도와 규모 등 도조례로 따로 정한 경우만 미리 신고를 하고 계약을 할 수 있도록 했다.
이와 함께 도지사가 매년 외국인의 토지에 관한 권리 변동 현황을 조사 및 고시하도록 하고, 허가 또는 신고가 필요한 토지의 범위와 허가·신고의 절차, 토지 권리 변동 사항에 대한 조사 항목 및 방법, 고시 방법 등은 조례로서 정하도록 했다.
강 의원은 "외국인의 제주도 토지 취득이 난개발에 따른 환경 파괴, 지가 상승으로 인한 임대료 급등, 중국인 불법 고용, 제주의 정체성 훼손 등 그 부작용이 커 도내에서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어 외국인들의 무분별한 제주 토지 매입으로 인한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법률 개정안을 발의했다"고 입법 취지를 밝혔다. 강 의원이 지난 19대 국회에서 발의했던 이 법안은 임기 내 처리되지 못해 자동폐기된 바 있다.
지난 2010년 제주도가 외국인들의 도내 투자를 활성화하기 위해 '부동산투자이민제도'를 도입한 이후 외국인의 제주도 토지 취득은 지난 2011년 말 952만㎡에서 2016년 8월 기준 2,263만㎡로 2011년 대비 무려 137.7% 증가했다. 현재 제주도 내 외국인 토지는 서울 여의도 면적(약 290만㎡)의 7.8배에 해당하며, 전체 토지에 대한 취득가액은 2016년 8월 기준 1조 263억원에 이른다.
특히 외국인 가운데 중국인의 제주도 토지 보유는 2011년 142만㎡에 불과했지만 5년 뒤인 2016년 8월 기준 975만㎡로 6배(586.6%) 가까이 증가했고, 전체 외국인 취득 토지 중 중국인의 취득 비율은 2016년 8월 기준 43.1%로 절반에 육박해, 제주도 내 중국인의 토지 보유 쏠림 현상이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제주에 중국인 부동산 투자 열풍이 불어 닥친 이후 자연경관의 보전가치가 높은 지역에 대규모 개발사업이 우후죽순 추진되면서 제주도 시민사회의 반발이 잇따르고 있으며, 전문가들도 "중국인들의 부동산 투기로 인해 지역경제에 부작용이 생길 수 있다"며 우려의 목소리를 내고 있다.
강 의원은 "제주도 내 외국인들의 토지 매입이 날로 증가하면서 제주도 내 땅값은 천정부지로 치솟고 있으며, 난개발로 인한 환경파괴와 내 집 마련의 꿈을 짓밟힌 제주도민들의 시름은 더욱 깊어지고 있다"며 "외국인 토지 매입 제한을 통해 투기 수요를 억제하고 이를 토대로 제주의 경제 발전을 극대화하는 방향으로 부동산 관리 방안을 마련해야 하며, 부동산투자이민제도에 대한 다각적인 개선도 검토해야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시사TV코리아 (http://sisatvkorea.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서울 / 인천·경기 / 강원 / 충남 / 충북 / 전남 / 전북 / 영남(본부) / 제주 뉴스HOT
-
제주도 기업 ESG 경영 연계 제주형..
제주특별자치도는 환경·사회·지배구조(ESG) 경영 확산으로 기업의 자연보전 역할..
-
제주도 새정부경제정책추진단 조직개편안..
제주특별자치도가 새정부 경제정책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새정부경제정책추진단..
-
제주도 2025년 상반기 제주특별자치..
제주도는 9일 오후 3시 도청 한라홀에서 열린 ‘2025년 상반기 제주특별자치도..
-
제주도 올해 버스정보시스템 보강구축
제주특별자치도가 올해 버스정보시스템 보강구축사업을 통해 버스정보안내기(BIT) ..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정원 세계적 정원도..
제주특별자치도가 도민 일상 속 정원문화 확산과 세계적 정원도시 도약을 위해 본격..
-
2025년 제주청년대상 수상후보자 모집
제주특별자치도는 지역사회의 발전을 이끌어가는 창의적이고 능동적인 청년들의 역량을..
-
제주도 전국 최초 큐알 결제 시스템 ..
제주특별자치도는 제주를 찾는 내외국인 관광객과 도민들의 택시 이용 편의 향상을 ..
-
제주도 5월 연휴 약 26만명 관광객..
제주특별자치도가 5월 연휴 기간 당초 예상보다 2.3% 많은 약 26만 명의 관..
-
제주세계유산본부 관광지 및 주요 도로..
제주특별자치도 세계유산본부(본부장 고종석)는 기후변화로 증가하는 외래 및 돌발병..
-
2025년 제주교육발전특구 특별교부금..
2025년 교육발전특구 특별교부금은 지난 2월 66억 원(도 27억, 교육청 3..
-
제주도 제13대 제주연구원장 유영봉 ..
제주특별자치도는 2일 도지사 집무실에서 제13대 제주연구원장에 유영봉 전 제주대..
-
제주도 5개 지정기부금 사업에 대한 ..
제주특별자치도는 5월 7일부터 곶자왈 보전과 청년 유입 확대 등 도민 체감도가 ..
-
제주도 연휴기간동안 25만2000명 ..
제주특별자치도는 1일부터 6일까지 연휴 기간 동안 25만 2,000명의 관광객이..
-
제주 워케이션 프로젝트형 바우처 지원..
제주특별자치도가 민간 역량 중심의 차별화된 워케이션 모델 발굴을 위해 ‘제주 워..
-
제주도 2025년 상반기 전기이륜차 ..
제주특별자치도가 친환경 이동수단 보급 확대를 위한 2025년 상반기 전기이륜차 ..
TV 특집 프로그램
기획기사
‘가장 살기 좋은 도시’ 세종시의 굴욕 ‘가장 살기 좋은 도시’ 세종시의 굴욕 세종시의 상업 시설들이 줄줄이 폐업하고 있다. 정부세종청사 바로 앞에 위치한 4성급 B 호텔은 25일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