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 25일 오전 전남 해남군 문내면 용암리의 한 논. 벼가 자라야 할 논 곳곳이 휑했다. "논 꼬라지 보소. 4㏊ 중 1㏊가 증발해부렀어요. 속상해 죽겠당게요."
유투브 https://www.youtube.com/watch?v=-FopTBISvSQ
농민 김수경(46)씨가 한숨을 내쉬었다. 논바닥엔 왕우렁이가 득실거렸다. 김씨는 "왕우렁이가 어린 모를 먹어치워 약을 뿌리고 여러 번 모내기를 했는데도 이 모양"이라며 "왕우렁이가 이렇게 번창한 건 생전 처음 본다"고 했다.
근처 강진군 논에서는 농민과 농협 직원들이 왕우렁이를 건져내고 있었다. 10분 만에 수거망이 왕우렁이로 가득 찼다. 이들은 "착한 줄만 알았던 왕우렁이가 이렇게 속을 썩일 줄은 몰랐다"고 했다.
전남에서 왕우렁이 퇴치 전쟁이 벌어지고 있다. 친환경 농업의 대명사인 왕우렁이가 올해 폭증하면서 모까지 먹어치우고 있기 때문이다. 전남도에 따르면, 올여름 왕우렁이 피해를 본 지역은 9군 5034㏊에 달한다. 작년 3.1㏊에서 1년 새 1623배 증가한 것이다. 전남도는 7월을 왕우렁이 포획 기간으로 정하고 5억2000만원을 들여 살충제를 긴급 지원하고 있다. 전남도는 올봄 어린 왕우렁이를 보급하는 데 40억원을 썼는데, 포획 비용까지 추가로 들게 된 것이다.
왕우렁이의 ‘습격’은 따뜻한 날씨 탓이 크다. 지난겨울 이례적으로 따뜻하고 비도 자주 오면서 얼어 죽어야 할 왕우렁이가 계속 번식하고 있다. 광주기상청에 따르면, 작년 12월부터 올 2월까지 전남 지역의 평균기온은 역대 가장 높았다. 전남도 관계자는 "비가 자주 내려 겨울에도 논바닥이 물에 잠겼고 날씨도 온화해 왕우렁이가 무사히 겨울을 났다"고 말했다.
정부는 2019년 '왕우렁이 관리 지침'을 만들어 잡초 제거 임무를 마친 왕우렁이를 포획하도록 했으나 농가들이 이를 소홀히 한 측면도 있다. 농민 박모(54)씨는 "왕우렁이 한 마리가 알을 낳으면 일주일 뒤 수백수천 마리가 부화한다"며 "성장 속도도 빨라 두 달이면 45㎝ 크기로 자란다"고 했다.
왕우렁이 농법에 변화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윤명희 전남도의회 의원은 "친환경 농업을 위해 도입한 우렁이 때문에 또 다른 농약을 쓰는 모순적인 상황이 발생하고 있다"며 "기후변화에 따라 근본적인 재검토가 필요하다"고 했다.
<저작권자 ⓒ 시사TV코리아 (http://sisatvkorea.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2025년 풋귤 출하농장 지정 완료
제주특별자치도가 2025년 풋귤 출하농장 지정을 완료하고, 214농가가 지정돼 ..
2025년 제1차 제주관광진흥협의회 ..
제주도는 26일 2025년 제1차 제주관광진흥협의회를 열고 대국민여행지원 사업과..
제주도 올여름 축산재해 대책 마련
제주특별자치도는 올여름 폭염·태풍·집중호우 등 기상재해로부터 축산농가를 보호하기..
제주도-제주테크노파크 용암해수단지 내..
제주특별자치도와 (재)제주테크노파크(원장 지영흔)는 용암해수단지 내 기업 입주 ..
제주도-경제통상진흥원 태국방콕에서 식..
제주특별자치도와 제주특별자치도 경제통상진흥원이 도내 식품기업의 아세안시장 진출을..
제주도 분산에너지 특화지역 최종후보지..
제주특별자치도는 산업통상자원부가 21일 발표한 분산에너지 특화지역 실무위원회 평..
제주도-현대홈쇼핑과 업무협약 체결
제주특별자치도가 국내 대표 TV쇼핑 유통기업인 현대홈쇼핑과 제주 농수축산물 판매..
제주도 신혼부부와 출산가구 위해 주택..
제주특별자치도가 주거비 부담으로 고민하는 신혼부부와 출산가구를 위해 복권기금 재..
제주도 베트남 말레이시아 중심 아시아..
제주특별자치도가 베트남·말레이시아를 중심으로 한 아시아 수산물 시장 공략에 박차..
제주도-넷플릭스 제주 콘텐츠 세계화 ..
제주특별자치도가 글로벌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OTT) 기업 넷플릭스와 손잡고 제..
제주도-싱가포르와 경제 문화 협력 확..
제주특별자치도가 싱가포르와의 경제·문화 협력을 항공 직항노선 성공에 이어 농축산..
제주민속자연사박물관 '요가로 몸, 명..
제주민속자연사박물관에서 2025년 6월 10일부터 7월 1일까지 매주 화요일 저..
제주도 한림읍 비양도 첫 드론 배송 ..
제주특별자치도가 국토교통부의 ‘2025 드론 실증도시 구축사업’의 일환으로, 한..
제주농업기술원 '청년농업인 학교' 운영
제주특별자치도 농업기술원(원장 고상환)이 지역 농업의 미래 성장 동력 확보를 위..
제주도-홍콩 협력 강화방안 논의
제주특별자치도와 홍콩이 경제, 교육, 관광, 무역, 디지털 전환 등 다양한 분야..
‘가장 살기 좋은 도시’ 세종시의 굴욕 ‘가장 살기 좋은 도시’ 세종시의 굴욕 세종시의 상업 시설들이 줄줄이 폐업하고 있다. 정부세종청사 바로 앞에 위치한 4성급 B 호텔은 25일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