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체제 권대정 경향 . 졸리
cccc 티볼트 대한항공 jdc n
홈- 뉴스 - 정치

친환경 농법의 습격!!

친환경 농업의 대명사인 왕우렁이가 올해 폭증 모까지 먹어치우고 있어 [양동익 기자 2024-07-29 오전 9:49:42 월요일] a01024100247@gmail.com

PRINT :    SCRAP :

 

지난 25일 오전 전남 해남군 문내면 용암리의 한 논. 벼가 자라야 할 논 곳곳이 휑했다. "논 꼬라지 보소. 4㏊ 중 1㏊가 증발해부렀어요. 속상해 죽겠당게요."

 

유투브 https://www.youtube.com/watch?v=-FopTBISvSQ




 

농민 김수경(46)씨가 한숨을 내쉬었다. 논바닥엔 왕우렁이가 득실거렸다. 김씨는 "왕우렁이가 어린 모를 먹어치워 약을 뿌리고 여러 번 모내기를 했는데도 이 모양"이라며 "왕우렁이가 이렇게 번창한 건 생전 처음 본다"고 했다.

 

근처 강진군 논에서는 농민과 농협 직원들이 왕우렁이를 건져내고 있었다. 10분 만에 수거망이 왕우렁이로 가득 찼다. 이들은 "착한 줄만 알았던 왕우렁이가 이렇게 속을 썩일 줄은 몰랐다"고 했다.

 

전남에서 왕우렁이 퇴치 전쟁이 벌어지고 있다. 친환경 농업의 대명사인 왕우렁이가 올해 폭증하면서 모까지 먹어치우고 있기 때문이다. 전남도에 따르면, 올여름 왕우렁이 피해를 본 지역은 9군 5034㏊에 달한다. 작년 3.1㏊에서 1년 새 1623배 증가한 것이다. 전남도는 7월을 왕우렁이 포획 기간으로 정하고 5억2000만원을 들여 살충제를 긴급 지원하고 있다. 전남도는 올봄 어린 왕우렁이를 보급하는 데 40억원을 썼는데, 포획 비용까지 추가로 들게 된 것이다.

 

왕우렁이의 ‘습격’은 따뜻한 날씨 탓이 크다. 지난겨울 이례적으로 따뜻하고 비도 자주 오면서 얼어 죽어야 할 왕우렁이가 계속 번식하고 있다. 광주기상청에 따르면, 작년 12월부터 올 2월까지 전남 지역의 평균기온은 역대 가장 높았다. 전남도 관계자는 "비가 자주 내려 겨울에도 논바닥이 물에 잠겼고 날씨도 온화해 왕우렁이가 무사히 겨울을 났다"고 말했다.

 

정부는 2019년 '왕우렁이 관리 지침'을 만들어 잡초 제거 임무를 마친 왕우렁이를 포획하도록 했으나 농가들이 이를 소홀히 한 측면도 있다. 농민 박모(54)씨는 "왕우렁이 한 마리가 알을 낳으면 일주일 뒤 수백수천 마리가 부화한다"며 "성장 속도도 빨라 두 달이면 45㎝ 크기로 자란다"고 했다.

 

왕우렁이 농법에 변화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윤명희 전남도의회 의원은 "친환경 농업을 위해 도입한 우렁이 때문에 또 다른 농약을 쓰는 모순적인 상황이 발생하고 있다"며 "기후변화에 따라 근본적인 재검토가 필요하다"고 했다.

On Air
시사 TV 코리아

서울 / 인천·경기 / 강원 / 충남 / 충북 /
전남 / 전북 / 영남(본부) / 제주
뉴스HOT

TV 특집 프로그램

기획기사

‘가장 살기 좋은 도시’ 세종시의 굴욕 ‘가장 살기 좋은 도시’ 세종시의 굴욕 세종시의 상업 시설들이 줄줄이 폐업하고 있다. 정부세종청사 바로 앞에 위치한 4성급 B 호텔은 25일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