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3일 오전 행정자치부과 주최하고 제주도가 주관한 제69주년 4.3희생자 추념식이 제주4.3평화공원에서 열리고 있다. |
“4.3영령들이여, 부디 해원하시고 영면하소서”
올해로 69주년을 맞는 현대사의 비극 제주 4.3사건. 올해도 그 아픔의 날을 맞아 추념식이 봉행됐다.
3일 제주시 봉개동 소재 4.3평화공원에서 열린 ‘제69주년 4.3희생자 추념식’은 제주4.3이 앞으로 나아가야 할 길을 제시하는 자리가 됐다.
이날 추념식에는 정부측에서 황교안 대통령 권한대행이 참석해으며, 장미대선을 앞두고 안철수 국민의당 대통령선거 예비후보, 심상정 정의당 대통령후보, 추미애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 정병국 바른정당 원내대표 등 정치인들이 대거 참여해 영령들의 영면을 기원했다.
그간 특별법 제정, 국가추념일 제정 등 여러 가지 성과가 있어왔지만, 내년 70주년을 맞는 제주 4.3의 해결을 위해서는 아직도 갈 길이 멀기만 한 상황이다.
이 때문이었을까 유족 배보상 등 실질적인 해결을 위한 정부 지원 및 정치권의 노력을 촉구하는 목소리가 계속 이어졌다.
원희룡 지사는 추념사를 통해 “제주4.3이 세계로, 미래로 나아가기 위한 과제가 아직 남아있다”며 “희생자에 대한 배·보상 문제를 비롯해, 4.3희생자 및 유족심의·결정 상설화, 수형인에 대한 명예회복, 행방불명인에 대한 유해발굴 등 남은 과제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과 지언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신관홍 도의회의장도 “그간 특별법 제정 등이 4.3해결의 1단계 과제였다면, 4.3발생 70주년은 2단계 해결을 위한 계기가 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따.
2단계 과제는 ▲희생자·유족의 진정한 명예회복을 위한 배·보상 ▲유해발굴에 대한 정부지원 ▲교육을 통한 4.3평화인권 고양 ▲4.3추념일을 지방공휴일로 지정하는 것 등이다.
양윤경 유족회장은 유족들이 느끼는 심경을 쓴소리로 토로했다.
양 유족회장은 “올해도 어김없이 제주의 4월을 쓰라리고 아프게 다가왔다”며 “비운의 영령들을 추모하고자 모인 우리들은 그 쓰라림과 아픔을 온몸으로 맞이하고 있다”고 일침했다.
또한 양 유족회장은 “용서와 화합을 위해서는 가해자인 정부의 스스로 잘못을 인정하는 진정성 있는 자세와 도의적 책임의식이 필수적이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