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준표 유승민의 저조가 안철수에게
5~60대 안철수에게 지지 [권대정 기자 2017-04-10 오후 1:55:35 월요일] djk3545@empas.com
보수표 ‘안철수로 심리적 단일화’ 추세
안희정 지지 56.4%가 안철수로… 수도권 TK선 안철수-PK 강원 문재인 우세 국민의당 안철수 후보의 상승세는 경선을 마치고 본선 대진표를 확정하는 과정에서 ‘컨벤션 효과’(대형 정치 이벤트를 통해 지지율이 크게 상승하는 효과)를 충실히 누린 결과로 풀이된다. 또 보수 후보들의 표가 어떻게 분산되느냐에 따라 안 후보와 더불어민주당 문재인 후보 간의 승패가 갈리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안희정 지지층 절반 이상 안철수로 이동
KBS-연합뉴스가 코리아리서치에 의뢰해 9일 발표한 대선 후보 지지도에서 안 후보의 지지율은 36.8%로 같은 기관이 지난달 12일 발표한 조사(8.4%)보다 무려 28.4%포인트나 뛰어올랐다. 지난달 조사에서 안희정 충남도지사의 지지율은 17.0%, 황교안 대통령 권한대행은 9.1%였다. 이들의 지지율을 대부분 흡수했다는 분석이 가능하다. 반면 문 후보의 지지율은 지난달 12일 29.9%에서 후보 확정 이후에도 2.8%포인트 오르는 데 그쳤다.
실제 이번 조사에서 민주당 후보 확정 이전 안 지사를 지지했던 사람 가운데 56.4%는 이제 안 후보를 지지한다고 밝혔고, 문 후보로 옮겨간 지지층은 17.9%에 그쳤다. 이재명 경기 성남시장 지지층의 47.3%는 문 후보로, 23.2%는 안 후보로 이동했지만 지난달 조사에서 이 시장의 지지율(9.0%)이 안 지사의 절반 수준이었음을 감안하면 민주당 경선에 따른 혜택은 안 후보를 향한 것으로 볼 수 있다는 분석이다.
지역별로는 수도권과 호남, 충청, TK(대구경북) 지역에서 안 후보가 앞섰고 부산·울산·경남, 강원·제주에선 문 후보가 1위였다. 연령별로 문 후보는 20∼40대에서 우위를 점했지만 50대 이상에선 안 후보의 지지율이 앞섰다. 안 후보의 연령별 지지 성향은 보수 진영 후보와 유사한 양상을 보였다. 하지만 민주화 세대인 ‘86그룹’ 상당수가 포함되면서 이번 선거의 ‘캐스팅보트’ 역할을 할 것으로 점쳐지는 50대에선 안 후보가 43.8%의 지지를 얻어 문 후보(25.2%)를 크게 앞섰다.
안 후보의 약진은 대선 초반 보수 후보들이 좀처럼 지지율 침체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사이 보수 성향의 표심이 안보 정책 등에서 유연한 태도를 보이고 있는 안 후보에게로 쏠린 결과로 풀이된다. 이른바 보수층이 ‘심리적 단일화’에 나섰다는 얘기다. 실제 리서치플러스 조사에선 2012년 대선 당시 박근혜 전 대통령에게 투표했다고 밝힌 응답자 가운데 51.9%가 안 후보를 지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흥미로운 대목은 자유한국당 홍준표 후보와 바른정당 유승민 후보 등 보수 진영 후보 지지율의 합에 따라 안 후보와 문 후보의 우위가 뒤바뀐다는 점이다. KBS-연합뉴스 조사(홍 후보 6.5%, 유 후보 1.5%)와 조선일보의 의뢰를 받아 칸타퍼블릭이 7, 8일 실시한 여론조사(홍 후보 5.7%, 유 후보 1.9%) 등 보수 진영 후보 지지율의 합이 7∼8% 안팎인 조사에선 모두 안 후보가 문 후보를 제쳤다.
정치권에선 안 후보의 상승세가 투표장까지 이어질지는 좀 더 지켜봐야 알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특히 대선 구도가 문 후보와 안 후보의 양강 대결로 재편되면서 난타전이 이어지고 있다는 점이 변수로 꼽힌다. 오랫동안 대선 레이스를 독주해온 문 후보가 견고한 지지세를 보이고 있는 반면 갑자기 늘어난 안 후보의 지지층이 검증 공세 국면에서 계속 결집력을 보일지 지켜봐야 한다는 얘기다. 또 지지 후보가 없다고 밝힌 15%가량의 부동층이 어느 후보를 선택할지도 최종 승부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된다.
원문보기:
http://news.donga.com/Main/3/all/20170410/83774119/1#csidxee4383b7a3b220984e4fe31ef6a2a80

<저작권자 ⓒ 시사TV코리아 (http://sisatvkorea.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서울 / 인천·경기 / 강원 / 충남 / 충북 / 전남 / 전북 / 영남(본부) / 제주 뉴스HOT
-
제주도 기업 ESG 경영 연계 제주형..
제주특별자치도는 환경·사회·지배구조(ESG) 경영 확산으로 기업의 자연보전 역할..
-
제주도 새정부경제정책추진단 조직개편안..
제주특별자치도가 새정부 경제정책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새정부경제정책추진단..
-
제주도 2025년 상반기 제주특별자치..
제주도는 9일 오후 3시 도청 한라홀에서 열린 ‘2025년 상반기 제주특별자치도..
-
제주도 올해 버스정보시스템 보강구축
제주특별자치도가 올해 버스정보시스템 보강구축사업을 통해 버스정보안내기(BIT) ..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정원 세계적 정원도..
제주특별자치도가 도민 일상 속 정원문화 확산과 세계적 정원도시 도약을 위해 본격..
-
2025년 제주청년대상 수상후보자 모집
제주특별자치도는 지역사회의 발전을 이끌어가는 창의적이고 능동적인 청년들의 역량을..
-
제주도 전국 최초 큐알 결제 시스템 ..
제주특별자치도는 제주를 찾는 내외국인 관광객과 도민들의 택시 이용 편의 향상을 ..
-
제주도 5월 연휴 약 26만명 관광객..
제주특별자치도가 5월 연휴 기간 당초 예상보다 2.3% 많은 약 26만 명의 관..
-
제주세계유산본부 관광지 및 주요 도로..
제주특별자치도 세계유산본부(본부장 고종석)는 기후변화로 증가하는 외래 및 돌발병..
-
2025년 제주교육발전특구 특별교부금..
2025년 교육발전특구 특별교부금은 지난 2월 66억 원(도 27억, 교육청 3..
-
제주도 제13대 제주연구원장 유영봉 ..
제주특별자치도는 2일 도지사 집무실에서 제13대 제주연구원장에 유영봉 전 제주대..
-
제주도 5개 지정기부금 사업에 대한 ..
제주특별자치도는 5월 7일부터 곶자왈 보전과 청년 유입 확대 등 도민 체감도가 ..
-
제주도 연휴기간동안 25만2000명 ..
제주특별자치도는 1일부터 6일까지 연휴 기간 동안 25만 2,000명의 관광객이..
-
제주 워케이션 프로젝트형 바우처 지원..
제주특별자치도가 민간 역량 중심의 차별화된 워케이션 모델 발굴을 위해 ‘제주 워..
-
제주도 2025년 상반기 전기이륜차 ..
제주특별자치도가 친환경 이동수단 보급 확대를 위한 2025년 상반기 전기이륜차 ..
TV 특집 프로그램
기획기사
‘가장 살기 좋은 도시’ 세종시의 굴욕 ‘가장 살기 좋은 도시’ 세종시의 굴욕 세종시의 상업 시설들이 줄줄이 폐업하고 있다. 정부세종청사 바로 앞에 위치한 4성급 B 호텔은 25일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