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0년 뒤 인류는 바보가 된다
스마트폰에 의지 [권대정 기자 2018-01-06 오후 7:24:19 토요일] djk3545@empas.com
![2006년 미국에서 개봉한 영화 이디오크라시. 500년 후 인간의 지능이 크게 낮아진 디스토피아적 미래를 그렸다. [영화 이디오크라시]](http://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1801/06/79cda041-e3bc-46ff-8b63-4fc19413b186.jpg)
2006년 미국에서 개봉한 영화 이디오크라시. 500년 후 인간의 지능이 크게 낮아진 디스토피아적 미래를 그렸다. [영화 이디오크라시]
"고학력 여성 출산기피, 열성인자만 유전"
영화에선 미래 인간 IQ 80 이하로 떨어져
덴마크 연구 "스마트폰 사용, 지능 하락"
문명발전으로 IQ 향상' 플린법칙' 깨져
이미지·동영상 중심 미디어 소통도 원인
"언어의 한계는 인식하는 세상의 한계"
책·글자 멀어질수록 논리·추상력 떨어져
영화 ‘Idiocracy’. 플레이 버튼을 누르면 영상이 재생됩니다. [유트브]
과연 미래는 얼마나 발전해 있을까. 조는 큰 기대감을 갖고 미래의 사람들을 만납니다. 그런데 이게 웬일입니까. 사람들이 모두 바보가 돼 있었습니다. 모든 게 자동화 돼 인간은 머리 자체를 쓸 일이 없는 세상이 된 거죠. 사람들은 오직 자극적이고 단편적인 것들에만 반응합니다. 고차원적 사고 같은 건 존재하지도 않습니다. 사람들은 그저 소파에 앉아 감자튀김을 먹으며 TV를 보거나 게임에 몰두하고 있을 뿐입니다.
![영화 속에서 인간은 자극적이고 단편적인 것에만 열광한다. 고차원적인 사고는 사라진지 오래다. [영화 이디오크라시]](http://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1801/06/2b6d9e6f-27a7-4573-aa6d-9319c5e6a7f5.jpg)
영화 속에서 인간은 자극적이고 단편적인 것에만 열광한다. 고차원적인 사고는 사라진지 오래다. [영화 이디오크라시]
이게 어찌 된 영문일까요. 영화에선 500년 후 미래가 디스토피아로 펼쳐지는 이유를 풍자적으로 설명합니다. 똑똑한 사람들은 자아실현을 위해, 또는 아이를 키울 만큼 사회가 아름답지 못하다고 느껴 출산을 기피합니다. 반면 그렇지 않은 사람들은 아무 생각 없이 다산을 하고 아이들 교육에도 신경을 쓰지 않습니다. 그렇게 태어난 아이들은 TV와 게임에만 노출되고, 그 아이들이 성인이 되면 또 다시 같은 일이 반복돼 시간이 흐를수록 지능이 낮아졌다는 겁니다.
![카우치 포테이토(couch potato). 소파에서 감자칩을 먹으며 TV를 본다는 뜻으로 TV 등에 빠져 고차원적인 일을 하지 못하는 현대인의 단면을 비판하는 말이다. [네이버]](http://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1801/06/2fb836ad-1a3a-4163-abb7-f8eb81291626.jpg)
카우치 포테이토(couch potato). 소파에서 감자칩을 먹으며 TV를 본다는 뜻으로 TV 등에 빠져 고차원적인 일을 하지 못하는 현대인의 단면을 비판하는 말이다. [네이버]
그러나 영화가 말하고 싶어 하는 요지는 명확합니다. 기술의 발전이 인간의 삶을 윤택하게 하는 게 아니라 오히려 망치고 있다는 거죠. 영화 속에서 인류는 식량감소, 환경오염 등으로 파멸을 향해 가고 있지만 그 누구도 여기에 신경을 쓰지 않습니다. 결국 지구상에서 가장 똑똑한 냉동인간 조가 미국의 국무장관을 맡아 이런 위기를 타개하려고 애씁니다. 과연 조는 위기에 처한 인류를 구할 수 있을까요?
‘Idiocracy’는 온갖 화장실 유머 코드와 미국식 저질 농담으로 가득한 B급 영화지만 감독이 보여주고 싶었던 풍자의 메시지는 매우 선명합니다. 정신없이 웃다보면 어느새 러닝타임이 훌쩍 지나버리지만, TV를 끈 이후에 뭔가 깊은 생각과 고민거리를 남긴다는 거죠. 요즘 사회가 흘러가는 모습을 가만 보고 있노라면, 우리 앞에 펼쳐질 미래가 영화의 설정과 크게 달라 보이지 않기 때문입니다.
기술 발전은 삶을 편리하게 만들었지만 인간이 머리 쓸 일은 갈수록 적어지고 있습니다. 과거와 비교해 우리가 외우는 전화번호, 노래가사는 얼마나 될까요. 운전을 예로 들면, 예전에 잘 찾아다니던 길도 요즘은 내비게이션 없이 잘 못 갑니다. 간단한 암산도 하기 귀찮아지면서 산술적 능력도 많이 떨어졌죠. 그럼 과거처럼 그런 걸 일일이 다 외우고 다녀야 하느냐, 물론 그건 아닙니다. 다만 중요한 사실은 과거에 비해 우리가 머리를 훨씬 적게 쓰고 있다는 겁니다.
사진을 누르시면 '윤석만의 인간혁명(http://news.joins.com/issueseries/1014)' 홈페이지로 이동합니다.
이런 결과는 ‘플린 효과(사회발전으로 정신적 활동 많아져 IQ가 오른다는 분석)’와 정반대입니다. 1980년대 뉴질랜드 심리학자인 제임스 플린은 1930년대부터 1980년대까지 평균 IQ가 10년마다 3점씩 오른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그 사이 영양 상태가 개선되고 삶이 풍요로워지면서 IQ도 크게 높아졌다는 설명입니다. 플린은 “진화적으로 인간의 지적 능력이 높아졌다기보다는 삶이 윤택해지고 머리 쓸 일이 많아지면서 IQ가 올랐다”고 말합니다.
하지만 지금은 사회가 더욱 복잡해지고는 있지만, 기술의 발전 속도가 너무 빨라 개개인이 머리를 쓸 일은 점점 줄고 있죠. 앞으로는 더욱 그러할 것이고요. 언제든 손에 쥐어진 스마트폰으로 쉽게 검색을 할 수 있는 대신, 조용히 앉아 깊은 생각을 할 수 있는 사색의 시간은 줄었습니다. 모든 정보를 간편하게 얻을 수 있기 때문에 과거처럼 책을 찾거나 도서관을 가는 일도 없어졌고요.
![인간의 뇌는 3중으로 이뤄졌다고 한다. 생존과 본능에 대한 부분은 파충류의 뇌, 감정에 대한 것은 포유류의 뇌, 이성과 관련한 것이 인간의 뇌다. [네이버]](http://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1801/06/56d3e0e8-a82f-43a6-9f1b-79829a9b72c4.jpg)
인간의 뇌는 3중으로 이뤄졌다고 한다. 생존과 본능에 대한 부분은 파충류의 뇌, 감정에 대한 것은 포유류의 뇌, 이성과 관련한 것이 인간의 뇌다. [네이버]
그런데 여기서 중요한 것은 세 번째 뇌, 즉 인간의 뇌가 기능하는 방식입니다. 인간의 뇌에서 가장 중요한 건 전두엽이라 불리는 기관입니다. 전두엽의 가장 큰 역할은 언어를 관장하는 것이죠. 보통 전두엽이 모두 완성되는 시기로 남자는 30세 전후, 여자는 25세 전후라고 합니다. 특히 청소년기까지 전두엽에 필요 이상의 자극이 가거나, 덜 발전하게 되면 성년 이후 뇌의 발달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이죠.

좀 더 쉽게 설명해 볼까요? 우리가 머릿속으로 생각하는 방식은 보통 2가지입니다. 첫째는 오감을 통한 생각입니다. 듣고 보고 느끼는 거죠. 그 중에서 가장 큰 것은 시각적 이미지고요. 예를 들어 “퇴근 하고 무슨 밥을 먹을까”와 같은 단편적 생각은 머릿속에 이미지로 그려집니다. 때에 따라 보글보글 끓는 김치찌개의 소리가 들리기도 하고 매콤한 냄새가 상상되기도 하죠. 어쨌든 이런 생각의 가장 핵심은 이미지 중심으로 이뤄지고 있다는 겁니다.
![로댕의 '생각하는 사람'. [중앙포토]](http://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1801/06/eed81d76-6431-461c-b974-0f83e12f86ec.jpg)
로댕의 '생각하는 사람'. [중앙포토]
이처럼 인간의 생각을 표상하는 건 언어이기 때문에 언어가 달라지면 생각도 달라집니다. 예를 들어 영어 문화권에 있는 사람과 한국어 문화권에 있는 사람은 기본적으로 생각의 틀이 다르죠. 대표적인 게 존댓말입니다. 존댓말과 존칭이 발달해 있는 한국어는 말 자체로 위계서열이 나뉘죠. 초등학생도 한 학년만 높으면 상급생이 하급생에게 말을 놓습니다. 그러면서 권력구조가 자연스럽게 형성되죠.
?
<저작권자 ⓒ 시사TV코리아 (http://sisatvkorea.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서울 / 인천·경기 / 강원 / 충남 / 충북 / 전남 / 전북 / 영남(본부) / 제주 뉴스HOT
-
제주도 기업 ESG 경영 연계 제주형..
제주특별자치도는 환경·사회·지배구조(ESG) 경영 확산으로 기업의 자연보전 역할..
-
제주도 새정부경제정책추진단 조직개편안..
제주특별자치도가 새정부 경제정책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새정부경제정책추진단..
-
제주도 2025년 상반기 제주특별자치..
제주도는 9일 오후 3시 도청 한라홀에서 열린 ‘2025년 상반기 제주특별자치도..
-
제주도 올해 버스정보시스템 보강구축
제주특별자치도가 올해 버스정보시스템 보강구축사업을 통해 버스정보안내기(BIT) ..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정원 세계적 정원도..
제주특별자치도가 도민 일상 속 정원문화 확산과 세계적 정원도시 도약을 위해 본격..
-
2025년 제주청년대상 수상후보자 모집
제주특별자치도는 지역사회의 발전을 이끌어가는 창의적이고 능동적인 청년들의 역량을..
-
제주도 전국 최초 큐알 결제 시스템 ..
제주특별자치도는 제주를 찾는 내외국인 관광객과 도민들의 택시 이용 편의 향상을 ..
-
제주도 5월 연휴 약 26만명 관광객..
제주특별자치도가 5월 연휴 기간 당초 예상보다 2.3% 많은 약 26만 명의 관..
-
제주세계유산본부 관광지 및 주요 도로..
제주특별자치도 세계유산본부(본부장 고종석)는 기후변화로 증가하는 외래 및 돌발병..
-
2025년 제주교육발전특구 특별교부금..
2025년 교육발전특구 특별교부금은 지난 2월 66억 원(도 27억, 교육청 3..
-
제주도 제13대 제주연구원장 유영봉 ..
제주특별자치도는 2일 도지사 집무실에서 제13대 제주연구원장에 유영봉 전 제주대..
-
제주도 5개 지정기부금 사업에 대한 ..
제주특별자치도는 5월 7일부터 곶자왈 보전과 청년 유입 확대 등 도민 체감도가 ..
-
제주도 연휴기간동안 25만2000명 ..
제주특별자치도는 1일부터 6일까지 연휴 기간 동안 25만 2,000명의 관광객이..
-
제주 워케이션 프로젝트형 바우처 지원..
제주특별자치도가 민간 역량 중심의 차별화된 워케이션 모델 발굴을 위해 ‘제주 워..
-
제주도 2025년 상반기 전기이륜차 ..
제주특별자치도가 친환경 이동수단 보급 확대를 위한 2025년 상반기 전기이륜차 ..
TV 특집 프로그램
기획기사
‘가장 살기 좋은 도시’ 세종시의 굴욕 ‘가장 살기 좋은 도시’ 세종시의 굴욕 세종시의 상업 시설들이 줄줄이 폐업하고 있다. 정부세종청사 바로 앞에 위치한 4성급 B 호텔은 25일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