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심성 예산 집행의 폐해 '서울 성동구 생수 냉장고'
성동구 맘카페에 '생수 냉장고를 둘러싼 문제' 지적하는 글 올라와 [양동익 기자 2024-08-16 오전 10:49:55 금요일] a01024100247@gmail.com
"아까 드렸잖아요. 자주 오시잖아요. 왜 이러세요?"
13일 오전 10시 40분, 서울 성동구 마장동 자전거체험학습장 인근 '샘물창고' 앞. 자원봉사자 김모 씨(60대)와 나모 씨(60대)가 냉장고 앞을 지키며 시민들과 실랑이를 벌였다. 원칙은 '1인 1병'이지만, 더 많은 생수를 가져가려는 시민들 때문에 매일 같은 일이 반복되고 있다. 이날 채워진 500ml 생수 200병은 15분 만에 모두 소진됐다.
유투브 https://www.youtube.com/watch?v=5u76_oyxdhc
김 씨는 "줄 서서 받고는 조금 있다가 다시 와서 다른 시민들이 물을 꺼낼 때 기습적으로 가져가는 경우도 있다"며 "그래서 2명이 지키고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최근 성동구 맘카페에는 생수 냉장고를 둘러싼 문제를 지적하는 글이 올라왔다. 한 회원은 "어느 날 물이 없길래 보니, 할머니 한 분이 몇십 병씩 가져가더라"며 "말리니까 욕을 하고 가셨다"고 전했다. 이 글을 본 다른 회원들은 "차라리 없애라", "생수 거지를 양산하고 있다"며 비판을 이어갔다.
여름철 폭염에 대비해 여러 지자체가 운영하는 무료 생수 냉장고는 좋은 취지로 시작됐다. 성동구의 '샘물창고', 중구의 '오!빙고', 중랑구의 '옹달샘' 등 각기 다른 이름으로 운영되며, 이 냉장고에는 수억 원의 예산이 투입되었다. 그러나 모든 지자체가 이 정책을 시행하는 것은 아니며, 일부 지역은 무더위쉼터나 이동노동자를 대상으로 한 서비스에 그치고 있다.
중복 수령 문제가 심각합니다. 일부 시민들은 "친구들 대신 받는다", "500ml로는 부족하다" 등 다양한 이유로 더 많은 생수를 요구하고 있다. 성동구와 중구의 냉장고는 보충 후 30분에서 1시간 이내에 물이 모두 동났다. 생수를 받지 못한 시민들은 "주민등록증을 확인해 구민만 받을 수 있게 하라"고 불만을 표출했다.
플라스틱 쓰레기 문제도 지적된다. 무라벨 생수라고 해도 여름 내내 수만 개의 페트병이 버려지기 때문이다. 지자체는 옥외 정수기 설치 시 위생 문제를 이유로 병 생수를 제공하고 있다고 해명하지만,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버려진 페트병이 환경 오염을 초래한다는 비판이 나온다.
전문가들은 굳이 야외에 냉장고를 설치할 필요가 있냐고 의문을 제기한다. 주민센터에 정수기나 제빙기를 설치하는 것이 더 효율적이라는 의견이다. 한 교수는 "발상은 참신하지만, 기존 시설을 활용해도 충분하다"며 "세금 낭비 우려가 크고, 선별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무료 생수 냉장고 운영의 실효성에 대한 전면적인 재검토가 필요하다.
<저작권자 ⓒ 시사TV코리아 (http://sisatvkorea.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서울 / 인천·경기 / 강원 / 충남 / 충북 / 전남 / 전북 / 영남(본부) / 제주 뉴스HOT
-
제주도 기업 ESG 경영 연계 제주형..
제주특별자치도는 환경·사회·지배구조(ESG) 경영 확산으로 기업의 자연보전 역할..
-
제주도 새정부경제정책추진단 조직개편안..
제주특별자치도가 새정부 경제정책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새정부경제정책추진단..
-
제주도 2025년 상반기 제주특별자치..
제주도는 9일 오후 3시 도청 한라홀에서 열린 ‘2025년 상반기 제주특별자치도..
-
제주도 올해 버스정보시스템 보강구축
제주특별자치도가 올해 버스정보시스템 보강구축사업을 통해 버스정보안내기(BIT) ..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정원 세계적 정원도..
제주특별자치도가 도민 일상 속 정원문화 확산과 세계적 정원도시 도약을 위해 본격..
-
2025년 제주청년대상 수상후보자 모집
제주특별자치도는 지역사회의 발전을 이끌어가는 창의적이고 능동적인 청년들의 역량을..
-
제주도 전국 최초 큐알 결제 시스템 ..
제주특별자치도는 제주를 찾는 내외국인 관광객과 도민들의 택시 이용 편의 향상을 ..
-
제주도 5월 연휴 약 26만명 관광객..
제주특별자치도가 5월 연휴 기간 당초 예상보다 2.3% 많은 약 26만 명의 관..
-
제주세계유산본부 관광지 및 주요 도로..
제주특별자치도 세계유산본부(본부장 고종석)는 기후변화로 증가하는 외래 및 돌발병..
-
2025년 제주교육발전특구 특별교부금..
2025년 교육발전특구 특별교부금은 지난 2월 66억 원(도 27억, 교육청 3..
-
제주도 제13대 제주연구원장 유영봉 ..
제주특별자치도는 2일 도지사 집무실에서 제13대 제주연구원장에 유영봉 전 제주대..
-
제주도 5개 지정기부금 사업에 대한 ..
제주특별자치도는 5월 7일부터 곶자왈 보전과 청년 유입 확대 등 도민 체감도가 ..
-
제주도 연휴기간동안 25만2000명 ..
제주특별자치도는 1일부터 6일까지 연휴 기간 동안 25만 2,000명의 관광객이..
-
제주 워케이션 프로젝트형 바우처 지원..
제주특별자치도가 민간 역량 중심의 차별화된 워케이션 모델 발굴을 위해 ‘제주 워..
-
제주도 2025년 상반기 전기이륜차 ..
제주특별자치도가 친환경 이동수단 보급 확대를 위한 2025년 상반기 전기이륜차 ..
TV 특집 프로그램
기획기사
‘가장 살기 좋은 도시’ 세종시의 굴욕 ‘가장 살기 좋은 도시’ 세종시의 굴욕 세종시의 상업 시설들이 줄줄이 폐업하고 있다. 정부세종청사 바로 앞에 위치한 4성급 B 호텔은 25일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