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체제 . 경향 권대정 졸리
n jdc 대한항공 티볼트 cccc
홈- 뉴스 - 정치

신규 확진자 10만명대

2주 후 10만명대 초반 예상 [권대정 기자 2022-04-10 오후 3:16:05 일요일] djk3545@empas.com

PRINT :    SCRAP :

국내 오미크론 대유행이 감소세를 보이면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이틀째 10만명 후반대를 유지했다.


질병관리청 중앙방역대책본부는 10일 0시기준 신규 확진자가 16만4481명 발생했다고 밝혔다. 누적 확진자는 1533만3670명이다.

전날 신규 확진자는 18만5566명으로 지난 4일 12만7163명 이후 닷새 만에 20만명 아래로 줄었다. 이틀째 10만명대를 유지 중이다.

특히 일요일 발표 기준(전날 토요일 발생) 신규 확진자가 10만명대를 기록한 것은 지난 2월 27일 16만3558명 이후 6주 만이다.

전문가들 사이에선 이달 말~다음달 초 하루 신규 확진자 수가 10만명대 초반 수준까지 떨어질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뉴스1

10일 0시기준 코로나19 확진자 추이 ⓒ News1 윤주희 디자이너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감염 재생산지수 1 밑으로 감소세 유지…확진자 수 점차 하락

10일 코로나19 수리모델링 태스크포스(TF)에 따르면, 다수의 국내 연구팀은 지난 6일 보고서를 통해 유행 감소를 전망하면서 2~3주 안에 10만명대 초반까지 확진자가 줄 것으로 예상했다.

지난 3월 5주(3월 27일~4월 2일) 감염 재생산지수(Rt)는 0.91로 11주 만에 1 미만으로 감소했다. 이 기간 국내 확진자 수는 전주 대비 12.9% 줄었다.

정은옥 건국대학교 수학과 교수팀은 현 수준의 전파가 이어질 경우 변이 유행과 백신·치료제 사용에 따라 확진자가 13일 25만1330명, 20일 20만4082명, 27일 15만9438명 등 완만하게 줄 것으로 예상했다.

이창형 울산과학기술원 수리과학과 교수팀은 최근 2주간 재생산지수를 0.847로 보고 현행 거리두기 유지, 새 변이 영향 없다는 가정에 따라 확진자 수가 감소할 것으로 전망했다.

재생산지수가 0.7로 낮아지면 1주 후 확진자 수는 21만8193명, 2주 후에는 16만4388명으로 줄고 재생산지수가 0.5로 더 낮으면 각각 20만70명, 12만1630명으로 감소한다고 추정했다.

이효정 경북대학교 통계학과 교수팀도 6일 기준 재생산지수가 유행 감소를 의미하는 1 미만으로 줄었다며 확산세가 커져도 1주일 뒤 16만433명, 2주일 뒤 14만181명으로 차츰 줄 것으로 봤다.

이들은 3주 뒤 12만364명, 한 달 뒤 10만1571명으로 감소할 것으로 보인다면서 확산세가 꺾였을 경우라면 2주 뒤부터 10만명 아래로 떨어지고 4주일 뒤 3만2000명대까지 하락할 것을 예상했다.

◇정부 '포스트 오미크론' 계획 발표…의료체계의 일상회복 관건

정부는 현 방역상황에 대해 "4월 들어 감소세가 확실해지고 있다"면서도 "아직 안심할 수준은 아닌 것 같다"고 밝혔다.

고위험군인 60세 이상 고령층에서 확진자 발생 비중이 계속 커지고, 위중증 환자도 한 달 넘게 1000명 이상 이어지고 있다는 이유에서다.

김부겸 국무총리는 지난 8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에서 "변화된 상황에 맞춰 코로나에 대한 인식과 대응을 근본적으로 바꿔야 한다"며 조만간 코로나19의 감염병 등급을 조정, 발표하겠다는 뜻을 내비쳤다.

정부는 다음 주부터 적용할 새로운 '사회적 거리두기 조정안'을 발표할 때 방역·의료체계의 일상회복을 목표로 한 '포스트 오미크론 대응 체계' 역시 공개할 지 주목된다.

거리두기의 경우 마스크 착용 등을 제외한 큰 폭의 완화 방안이 공개될 예정이다. 포스트 오미크론 대응 체계에는 고위험군을 두텁게 보호하되 의료체계를 일상화하는 방안이 담길 전망이다.

정부는 현재 1급인 코로나19의 감염병 등급을 의료역량과 코로나19 대면진료 활성화를 위해 결핵, 수두, 홍역과 같은 2급으로 한 단계 내리는 방안을 두고 검토하고 있다.

코로나19 등급이 하향 조정된다면 확진자의 격리 기간이 줄어들 거나 격리 의무 자체가 아예 사라질 수 있다. 1급 감염병 환자는 모두 격리해야 하지만 2급 감염병의 경우 11종 감염병 환자에게만 격리 의무가 있다.

현재 정부는 격리치료 대상만 치료비를 지원 중인데 코로나19 환자의 격리 의무가 사라지면 치료비 지원 역시 없어진다. 각 의료기관은 격리병상 수를 줄이고 인력과 지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On Air
시사 TV 코리아

서울 / 인천·경기 / 강원 / 충남 / 충북 /
전남 / 전북 / 영남(본부) / 제주
뉴스HOT

TV 특집 프로그램

기획기사

‘가장 살기 좋은 도시’ 세종시의 굴욕 ‘가장 살기 좋은 도시’ 세종시의 굴욕 세종시의 상업 시설들이 줄줄이 폐업하고 있다. 정부세종청사 바로 앞에 위치한 4성급 B 호텔은 25일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