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향 권대정 행정체제 졸리
n jdc 티볼트 cccc 대한항공
홈- 뉴스 - 정치

제주지역 인구 감소 가능성

2016년부터 감소 분위기로 [권대정 기자 2018-01-26 오후 12:17:03 금요일] djk3545@empas.com

PRINT :    SCRAP :

??제주지역 젊은 여성인구와 고령인구의 상대비율을 통해 20~30년 뒤 인구 변화를 예측할 경우 인구가 빠르게 줄어 소멸될 수 있는 위험성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25일 제주특별자치도에 따르면 도내 인구 변화와 관련, 소멸위험지수는 2006년 1.51로 소멸 저위험단계였지만 2016년에는 소멸 주의단계인 0.90(전국평균 1.01)까지 떨어졌다.

소멸위험지수는 20~39세 여성인구와 65세 이상 고령인구의 상대비를 나타낸 지수로 1.0 이하로 떨어질수록 인구 소멸의 위험성은 크다는 뜻이다.

2006년 도내 20~39세 여성 인구의 비율은 15.5%로, 65세 이상 고령인구 10.3%보다 높았다.

이후 젊은 여성인구는 점점 줄고 고령인구는 늘면서 2012년에 상황이 역전됐고, 2016년에는 20~39세 여성은 12.5%까지 감소한 반면 65세 이상은 13.8%까지 상승했다.

도내 인구 이동 패턴 가운데 2016년 전입 인구 가운데 1인가구 비율이 80.2%로 전국 평균 대비 10% 포인트 높았고, 핵심생산가능인구(25~49세)의 순이동도 많았다.

도외에서 도내로 전입하는 사유는 직업과 가족, 주택 등의 순인 반면 제주 안에서 전입하는 사유는 주택과 가족, 직업 등으로 나타나 대조를 보였다.

장래인구 추계와 관련해선 지난해까지 증가세를 보여 온 도내 생산가능인구 비율이 올해 처음 70.6%에서 70.5%로 감소세로 돌아설 것으로 예상됐다.

도내 출생아 수의 경우 오는 2028년까지 증가하다가 2029년에 6111명에서 6104명으로 감소하기 시작할 것으로 예측됐다.

총 인구 수는 80만4183명을 정점으로 찍고 2045년부터 감소할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그동안 지속적으로 증가해온 순이동자 수는 이미 2016년 1만7000명에서 1만4000명으로 상승세가 꺾인 후 매년 감소해 2045년에는 3000명선까지 줄어들 것으로 예측됐다.??

 

On Air
시사 TV 코리아

서울 / 인천·경기 / 강원 / 충남 / 충북 /
전남 / 전북 / 영남(본부) / 제주
뉴스HOT

TV 특집 프로그램

기획기사

‘가장 살기 좋은 도시’ 세종시의 굴욕 ‘가장 살기 좋은 도시’ 세종시의 굴욕 세종시의 상업 시설들이 줄줄이 폐업하고 있다. 정부세종청사 바로 앞에 위치한 4성급 B 호텔은 25일까지..